귀로 ()

영화
작품
1967년, 이만희 감독이 연출한 한국영화.
작품/영상
창작 연도
1967년
발표 연도
1967년
시나리오 작가
백결
감독
이만희
연출자
이만희
촬영자
이석기
주요 등장인물
김진규|문정숙|김정철|이용|송미남
내용 요약

「귀로」는 1967년에 이만희 감독이 연출한 한국영화이다. 이 영화는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으나 1960년대, 여성의 황폐한 내면 풍경을 탁월하게 외화한 예술성과 실험성이 인정받으며 이만희의 대표작이자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작품의 반열에 올랐다.

정의
1967년, 이만희 감독이 연출한 한국영화.
내용

최동우( 김진규 분)는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부상을 당한 뒤 하반신 마비로 인해 성불구가 된다. 그는 소설가가 되어 자신의 부부 관계를 모티프로 한 소설을 신문에 연재하고 있다. 그러나 성불구자 남편과 헌신적인 아내라는 소설의 설정이 시대에 뒤떨어져 있다는 독자들의 비판을 받는다. 지연(문정숙 분)은 몸이 불편한 남편을 대신해서 가끔씩 원고를 전달하러 서울의 신문사에 다녀온다. 집을 떠나 도시의 이곳저곳을 방문하는 그 시간은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한 채 인내하며 살아가는 지연이 잠깐이나마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다.

신문사에 갓 입사한 강 기자(김정철 분)는 이런 지연에게 호감을 가지고 접근한다. 어느 날 기차를 놓친 지연은 강 기자와 데이트를 하게 되고, 최동우는 우연히 이 광경을 본 여동생(전계현 분)에게서 이 사실을 전해 듣는다. 하지만 아내와 헤어질 용기가 없는 그는 직접적으로 내색하지 못한 채 소설 속 여주인공의 행동을 조금씩 변화시킨다. 부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상황 속에서 강 기자는 지연에게 남편과 헤어지고 자신과 다시 시작하자고 제안한다.

제작 및 상영 배경 등

1967년 7월 27일에 명보극장에서 개봉하였다. 이만희와 오랜 기간 호흡을 맞추었던 문정숙의 사실상 단독 주연작이라 할 수 있다. 이만희 감독이 직접 제작하였으나, 등록사만이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당시 영화법으로 인해 다른 회사의 명의로 제작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문정숙이 과연 자살을 하는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귀로」의 촬영감독 이석기에 의하면 마지막 장면은 문정숙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 맞다고 한다. 또한 당시 잡지 광고에서도 그녀의 죽음을 홍보 문구로 활용하였다.

의의 및 평가

외면적으로는, 성불구이자 하반신 마비의 남편을 충실하게 보살피는 여성의 황폐하고 고독한 내면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다. 이 영화가 단순한 멜로드라마로 남지 않았던 것은 인물 내면의 욕망과 풍경을 특유의 공간 구성과 주1으로 담아낸 이만희만의 연출 역량 때문이다. 여기에 주인공 부부의 관계가 영화 속 소설에서 재현되는 일종의 주2)적 구조라는 점도 영화의 형식적 실험성을 더한다.

「귀로」는 오랫동안 한국영화사에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하였으나, 1960년대 한국영화의 모더니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발견되었다. 2000년대 초 부산국제영화제한국영상자료원의 이만희 회고전 등을 거치면서 이만희 감독의 대표작 중 한 편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여주인공은 10년이 넘는 시간을 성불능의 남편을 성실하게 보좌하며 지내왔지만, 한계에 이르고 있다. 이때 자신에게 접근하는 매력적인 젊은 남성을 만나고, 그와 육체적 관계를 맺은 후, 그에 대한 스스로의 징벌로 음독자살한다.

한계적인 상황과 그 상황을 돌파하는 인물의 선택, 그리고 그 선택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감수하는 자기충족적 윤리는 그 인물이 여성이건 남성이건, 장르가 전쟁영화건 범죄영화건, 멜로드라마건 이만희 영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형적인 이만희적 여주인공의 내면과 풍경은 예컨대 인천의 답답한 부르주아적 이층집과 탁 트인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이라는 대비를 통해 탁월하게 외화되었다.

플롯의 전개 이전에 인물의 심리와 공간에 대한 묘사에 더 많은 부분을 할애하는 이만희식 모더니즘의 진가를 보여 주는 대표작이다. 서울역을 중심으로 한 영화 속 서울의 풍경이 돋보인다. 「만추」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만희식 모던 멜로드라마의 진경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영화천재 이만희』(한국영상자료원,2005)
김소영, 『근대성의 유령들-판타스틱 한국영화』(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0)

논문

김소영, 「세상이 팜파탈보다 더 파탈한 관계로…」(『영화와 여성: 영화로 보는 한국사회와 여성』, 한국영상자료원, 2012)

기타 자료

「귀로」(이만희, 1967)

인터넷주소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https://www.kmdb.or.kr)
주석
주1

무대 위에서의 등장인물의 배치나 역할, 무대 장치, 조명 따위에 관한 총체적인 계획.    우리말샘

주2

연극 속에서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연극.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