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인명사전 ()

목차
현대사
문헌
2009년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친일 행위를 한 한국인의 목록을 정리하여 수록한 사전. 인명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2009년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친일 행위를 한 한국인의 목록을 정리하여 수록한 사전. 인명사전.
개설

1999년 8월 11일 ‘친일인명사전 편찬지지 전국 대학교수 1만인 선언’을 기반으로 2001년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본격적으로 편찬 사업을 시작하였다. 2004년 시민들의 자발적인 성금운동으로 편찬 기금을 마련하였으며, 2009년 친일문제연구총서 중 인명편 3권으로 출간하였다.

을사조약 전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에 이르기까지 일본제국주의의 국권침탈·식민통치·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함으로써 우리 민족 또는 타 민족에게 신체적·물리적·정신적으로 직·간접적 피해를 끼친 친일반민족행위와 부일협력행위를 한 인물 중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에서 선정한 4,389명을 수록한 사전이다. 2012년 8월 29일에는 모바일 『친일인명사전』을 출시하였다.

내용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각 분야의 전문연구자 150여 명이 편찬위원으로 참여했으며, 180여 명의 집필위원, 문헌자료 담당 연구자 80여 명이 관여하였다. 총 3천여 종의 일제강점기 원사료와 데이터베이스 450여 종 등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인물 정보를 구축하였다. 또 시기별·분야별·형태별 친일행위를 종합하여 ① 일제의 국권침탈에 협력한 자, ② 일제의 식민통치기구에 참여한 자, ③ 항일운동을 방해한 자, ④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한 자, ⑤ 지식인·종교인·문화예술인으로서 일제의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협력한 자, ⑥ 기타 친일행위자 등으로 분류하였다.

수록 대상자 선정은 크게 개인의 직접적인 행위와 개인의 지위·역할 두 가지를 함께 고려하였다. 전자는 매국행위를 비롯하여 문인들의 창작을 통한 친일행위, 경찰의 민족운동가 탄압행위 등을 들 수 있다. 후자는 수작자, 습작자, 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관료 중 고등관 이상으로 재직한 자, 그리고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에 협력할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의 간부로 재직한 자 등 특정한 지위에 있는 자와 민족운동과 사상탄압을 주 업무로 했던 고등계 형사 등이 해당된다.

참고문헌

『친일인명사전』1-3(민족문제연구소, 2009)
「지연된 정의: 두 개의 보고서」(김민철, 『황해문화』68, 2010)
「『친일인명사전』 편찬의 쟁점과 의의」(조세열, 『역사비평』91,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