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목차
관련 정보
현대사
단체
1990년 서울에서 창립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단체의 연합체.
이칭
이칭
정대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1990년에 창립해 일본정부에 진실규명과 사과 등을 요청하는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국내외적으로 활동하는 단체이다. 정대협으로 불리며 37개 여성단체가 연합하여 결성하였다. 1991년에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의 공개 증언을 시작으로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수요시위,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반대 운동 등을 진행하였다. 주목할 점은 아시아 피해국 및 유엔 등 국제기구와의 연대활동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뿐만 아니라 분쟁지역의 여성 성폭력 문제를 알리고 피해자를 지원하는 활동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목차
정의
1990년 서울에서 창립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단체의 연합체.
개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韓國挺身隊問題對策協議會, 이하 정대협으로 약칭함)는 1988년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제기해 오던 37개 여성단체가 연합하여 1990년 11월 16일 결성되었다. 창립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활동

정대협이 처음 활동을 시작할 때 국내에는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드러낸 피해자가 아직 없었다. 정대협은 일본 정부에게 군‘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 인정, 이에 대한 공식적 사과와 진상규명, 희생자를 위한 위령비 건립, 생존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이와 관련한 역사교육 등을 요구하였다. 한국 정부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에게 제시한 내용을 관철해 주도록 요구하고, 한국도 ‘위안부’에 대해 역사서에 명기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후 전범 처벌 등과 같은 내용이 추가되고,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처음 제시한 사안들이 계속적으로 주요 활동의 방향 및 목표가 되었다.

1991년 8월 국내에서 첫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의 공개 증언이 있은 후 피해자 신고 전화가 설치되었다. 이후 피해자들이 속속 등장하자 정대협은 피해자 지원을 위한 구체적 활동을 시작하였다. 한국 정부와 국회에 강력하게 요구하여 1993년 6월 「일제하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현재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피해자 신고 및 피해자 지원이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외에도 노령의 피해자들에 대한 정대협 자체 지원 활동과 증언 녹취 등의 진상 규명 활동도 하고 있다.

대일본 정부 활동으로는 1992년 일본 수상의 방한을 계기로 정대협이 주관하여 시작된 수요시위, 일본 정부가 법적 책임을 피하기 위해 만든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 반대 운동,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반대 운동 등이 있다.

정대협 활동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아시아 피해국 및 유엔 등 국제기구와의 연대활동이다. 1992년에 조직한 아시아연대회의의 활동, 1991년 9월 한국의 유엔 가입이라는 환경을 활용하여 유엔의 인권위원회 · 인권소위원회 · 여성차별철폐위원회와 국제법률가협회 · 국제노동기구(ILO) 전문가위원회 등 인권 관련 국제기구와 세계인권대회 · 세계여성대회 등의 국제연대활동 등이 그것이다.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단순한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도 지구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쟁하의 성폭력 문제의 하나임을 알리고, 세계의 여성단체와 더불어 일본 정부를 압박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활동의 결과 유엔 인권위원회와 인권소위원회에서 쿠마라스와미 및 맥두걸 등의 보고서가 제출되고 채택되었다. 또한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 국제법정’ 등을 개최할 수 있었다.

현황

2000년대 이후 정대협은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을 건립하고, 국제기구와 각국 여성단체 및 인권단체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만이 아니라 분쟁지역하의 여성 성폭력 문제를 알리고 피해자를 지원하는 등 활동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2015년 12월 28일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들먹이며 피해 생존자 및 유족에 대한 위로금 지불과 ‘평화의 소녀상’ 철거 합의를 주장하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맞서 피해자들과 함께 한일 정부의 졸속 합의 철회 운동을 벌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년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년사 편찬위원회, 한울, 2014)
『일본군성노예제』(정진성, 서울대출판부, 2004)
『한국교회여성연합회25년사』(이현숙, 한국교회여성연합회, 1992)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www.womenandwar.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