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순 ()

현대사
인물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로,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한국인 최초로 공개 증언한 인물.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4년 10월 20일
사망 연도
1997년 12월 16일
출생지
만주 지린
대표 상훈
올해의 여성상(1992)
내용 요약

김학순은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한국인 최초로 공개 증언한 인물이다. 김학순은 1990년 일본이 군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발표한 것에 분노해 공개 증언에 나섰고, 그의 증언에 많은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이 증언할 용기를 얻었다. 또한, 일본 정부를 상대로 보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여성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정의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로,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한국인 최초로 공개 증언한 인물.
인적 사항

김학순(金學順)은 1924년 중국 만주의 지린〔吉林〕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가인 아버지를 따라 만주를 떠돌다 아버지 사후, 1941년 양아버지가 일본군에 넘겨 만주에서 ‘ 위안부’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 후 한국 상인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1946년 귀국한 후 결혼해 가정을 꾸렸으나, 한국전쟁 당시 남편을 잃고 어린 아들마저 익사 사고로 잃었다. 이후 날품팔이, 행상, 파출부 생활을 하며 지내다가 1990년 6월 일본이 군 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발표하자 분노해 증언을 결심하였다.

공개 증언 후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보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였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증언하고 일본의 사과를 촉구하는 여성 인권운동가로서의 삶을 지속해 갔다. 1997년 12월 8일 평생 모은 재산 2천여만 원을 서울 동대문감리교회에 기부하였고, 일본 정부의 진심 어린 사죄를 받아 달라는 유언을 남긴 채 1997년 12월 16일 폐질환으로 서울 동대문 이화여대부속병원에서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1991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최초로 공개 증언하였다. 그의 증언은 한일 양국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약칭 정대협)에서는 ‘정신대 피해 신고전화’를 개설해 피해자의 증언을 모았다. 같은 해 12월, 다른 두 명의 피해자와 함께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아시아 주1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자 국제 사회에서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김학순의 이러한 활동에 다른 피해 생존자의 증언이 이어졌으며, 일본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단체들이 조직되었다. 1992년에는 일본 법정에서 일본의 만행을 증언함으로써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부’에게 사죄하는 계기가 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2년 3월 한국여성단체연합 주최 ‘올해의 여성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의 뜻을 기려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이날을 ‘세계 위안부 기림일’로 정하고, 매년 다양한 캠페인과 연대 집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날은 2017년 12월 국회를 통과하여 공식적 국가기념일로 확정되었다.

2021년 김학순 증언 30주년을 맞아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특별전시 ‘그날의 목소리’를 개최하였고, 8월 14일 기림일을 맞아 온라인 문화제가 열렸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주2’(약칭 정의기억연대)에서는 증언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증언의 역사적 의미와 향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의 과제와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미향, 『25년간의 수요일』(사이행성, 2016)

신문

「김학순 할머니의 고백이 만든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연합뉴스』, 2009. 8. 14.)
「[책갈피 속의 오늘]1997년 일본군위안부 김학순 할머니 별세」 (『동아일보』, 2008. 12. 16.)
「위안부 최초증언 김학순씨 별세 일본 공식사죄 촉구 앞장」(『한겨레』, 1997. 12. 17.)

기타 자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김학순 공개증언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21)

인터넷 자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https://womenandwar.net/kr)
주석
주1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연합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로서,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되어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끝났다.    우리말샘

주2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이 통합하여 출범한 단체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하여 활동한다.    바로가기

집필자
장미현(역사문제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