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은 시대에 따른 아동관의 변화와 함께 발전해 왔다. 아동복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았던 조선시대에는 성인의 일상복과 유사한 형태의 옷을 아동복으로 착용하였다. 개항 이후 서양의 근대 아동관이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치고 근대 교육이 도입되면서 아동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아동의 신체 발달이 성인과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아동복을 고안하게 되면서 한복의 구조를 아동의 신체적 특징에 맞도록 개량하여 입게 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활동성이 좋은 서양의 복식을 아동복으로 착용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의 아동복은 성인의 옷과 형태가 동일하여 남아는 저고리와 바지, 배자, 두루마기를, 여아는 저고리와 치마, 두루마기를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다. 출생 직후부터 첫돌 이전까지는 흰색의 옷감을 주로 사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혔고 첫돌 등과 같은 아동 의례나 명절에는 화려한 색상의 옷감에 다양한 상징성을 담은 문양을 장식한, 옷과 장신구를 만들어 입혔다. 사규삼, 당의와 같은 일부 복식은 왕실이나 반가의 아동만 착용할 수 있어 일반 서민의 아동복과 구별되었다.
개항 이후에는 한복의 구조를 일부 개량하거나 서양의 복식과 혼용하기도 하였고, 관리가 쉽고 편리하다는 이유로 양복을 아동복으로 착용하도록 권장하였다. 또한 전통 사회의 해체와 근대 사상과 영향으로 신분의 구별 없이 비슷한 형태의 아동복을 착용하게 되었고, 근대 교육을 받는 아동의 교복도 일상복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광복 이후 양복이 일상적인 아동복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한복은 특별한 행사에 입는 예복으로 착용하고 있다.
개항 이후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른 아동관의 변화는 아동복의 변천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개항 초기에는 조선 후기의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성인 중심의 사고방식의 영향으로 아동기를 성인이 되어 가는 과정으로만 인식하였으며 아동복도 성인의 옷과 형태 면에서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19세기 이후 서양에서는 아동을 독립적인 인격체로 인식하는 근대 아동관이 정립되기 시작하였는데, 개항 이후 이러한 사상이 아동에 대한 새로운 교육관과 더불어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게 되어 아동복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개항 초기의 아동복은 성인 복식의 축소형으로 복식의 종류나 구조가 성인의 것과 거의 유사하였다. 아동이 출생 이후 유아기를 거치는 동안에는 남녀의 구별 없이 거의 비슷한 형태의 옷을 입히는데, 흰색이나 연한 색으로 만든 저고리와, 밑이 터진 풍차바지, 두렁이 등이 대표적인 복식이다. 4~5세 정도부터 성별에 따른 옷을 입기 시작해서 남아는 저고리와 바지를 기본으로 그 위에 배자나 두루마기를 입기도 하였으며 여아는 저고리와 치마를 입었다. 색이 거의 없는 유아기 복식과는 달리 홍색, 노랑색, 연두색, 남색 등의 진한 색의 옷감으로 아동복을 만들었으며, 색색의 옷감으로 소매를 장식한 색동옷이나 옷의 부위별로 색을 달리한 오방색 두루마기 등에서 당시 아동복의 특징을 볼 수 있다.
개항 이후 유입된 근대적 아동관과 서양복의 영향으로 전통 아동복의 구조를 개량하고 한복과 서양복을 함께 착장하는 단계를 거쳐 서양복을 입게 되었다. 외출용으로 입었던 두루마기는 긴 고름을 떼고 단추를 달아 여며서 입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한복 옷감으로 양복의 조끼를 본떠 만들어 입거나 치마나 풍차바지에 조끼허리를 달아 입었다. 갈색, 회색, 검정색 등 진한 색의 옷감을 사용하고 수입 직물인 모직물과, 줄무늬, 체크무늬, 꽃무늬 등의 옷감으로 한복을 만들어 입었다. 남아와 여아 모두 머리를 단발하고 버선 대신 양말을 신고 고무신과 구두를 신게 되었다.
일부 아동들은 1800년대 말부터 서양복을 입기도 하였으나 일반적이지는 않았고, 1910년대가 되면 전통 복식과 서양복을 혼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한복 위에 카디건, 스웨터, 케이프 등을 입었고 편물 목도리와 장갑을 착용하였다. 여아의 경우 저고리의 길이가 길어지고 치마의 길이가 짧아졌으며, 치마단을 접거나 흰색 선으로 장식하기도 하였다. 저고리와 플리츠스커트를 같이 입거나 큰 버클이 달린 허리띠를 치마 위에 두르기도 하였다.
근대 교육 기관의 학생들이 착용했던 교복의, 양장화가 일반 아동복에도 영향을 끼쳤다. 1920년대에 남학생의 교복이 한복에서 양복으로 바뀌었고, 1930년대에는 여학생의 교복도 양복으로 바뀌었다. 활동적인 아동에게 서양복이 기능적으로 적합하다는 이유로 아동의 양복 착용은 성인에 비해 빠르게 증가했다. 아동이 교복으로 착용했던 옷은 셔츠, 재킷, 바지, 코트, 세일러복, 원피스, 블라우스, 점퍼스커트 등이 있으며, 이것들이 일상생활의 아동복으로 정착하였다. 이 시기의 각 가정에서는 신문 기사나 강습회 등을 통해 아동을 위한, 다양한 서양복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었다.
광복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1970년대까지의 아동복은 일상복으로 서양복을 착용하는 것 외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부터는 아동복 전문 브랜드가 나오기 시작해서 현재까지 수많은 아동복이 생산되고 있다. 현대에는 아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기의 연령대를 세분화 하고 있으며 각각의 연령대에 적합한 아동복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아동복이 서양복으로 전환되면서 한복은 첫돌이나 명절, 학교 행사 등에 착용하는 특별한 옷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생활 한복이 아동의 일상복으로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