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 아바이순대 ( 아바이순대)

식생활
음식·약
돼지의 대창을 손질하여 그 안에 찹쌀과 좁쌀, 선지, 고사리, 배추 우거지, 숙주 등을 넣고 쪄내어 만드는 함경도 지방의 향토음식이자 강원도 속초시의 대표 음식.
이칭
약칭
아바이순대
음식·약/음식
재료
돼지 대창|돈혈|찹쌀밥|각종 채소
관련 장소
강원도 속초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속초 아바이순대는 함경도 지방의 향토음식이자 강원도 속초시의 대표 음식이다. 한국전쟁 때 남한으로 피난온 함경남도 실향민들이 함경도식 순대를 변형하여 만들어 먹던 음식으로, 돼지 대창 안에 주로 찹쌀밥을 버무려 넣고, 선지, 고사리, 배추 우거지, 숙주 등의 속을 채워서 쪄낸다. 아바이마을은 주민의 상당수가 함경도 출신이어서 함경도의 맛과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있다. 2000년 KBS-2TV 드라마 「가을동화」 촬영지로 유명세를 얻으며 속초시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다. 아바이순대는 실향민의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음식이다.

정의
돼지의 대창을 손질하여 그 안에 찹쌀과 좁쌀, 선지, 고사리, 배추 우거지, 숙주 등을 넣고 쪄내어 만드는 함경도 지방의 향토음식이자 강원도 속초시의 대표 음식.
연원 및 변천

우리 민족의 전통 음식 중 하나인 순대는 육류의 부위별 특성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좋은 사례로 함경도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걸쳐 간식이나 주식, 또는 특별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조선시대 기록에 의하면, 순대는 크게 개고기, 소고기, 양의 내장, 돼지고기 등을 이용한 육류 순대와 대구장, 민어부레 등을 이용한 생선 순대로 나누어진다.

아바이순대는 한국전쟁 중 1 · 4 후퇴로 남하한 함경남도 실향민들이 강원도 속초시 해변에 판잣집을 짓고 정착하면서 함경도식 순대를 변형하여 만들어 먹던 음식이다.

조리법

순대는 육류, 곡류, 채소류 이외에 여러 가지 양념과 선지 등을 섞어 동물의 내장에 넣고 양쪽을 실로 묶어 삶거나 쪄낸다. 순대에는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도 그 자체로 균형 잡힌 식품이다. 특히 재료로 사용되는 선지는 철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아바이순대는 돼지 대창 안에 주로 찹쌀밥을 버무려 넣고, 선지, 배추 우거지, 숙주 등의 속을 채워서 쪄낸다. 「순대의 문헌적 고찰」에 따르면, 아바이순대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함경도식 순대는 곡류로 찹쌀과 당면을 사용하고, 양념류의 사용이 두드러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관련 풍속

한국전쟁 때 함경도에서 속초로 피난온 실향민들이 돼지 창자 대신 동해안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오징어를 사용하여 오징어순대를 만들어 먹기도 했다. 아바이순대나 오징어순대 외에도 가자미식해, 명란젓 등이 실향민들의 고향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아바이마을은 속초 생활 문화의 상징으로 전국적으로 알려져있다. 한국전쟁 당시 남한으로 피난을 온 함경도 사람들이 같은 고향 사람들이 속초에서 모여 산다는 소문을 듣고 모여들기 시작하여 만들어진 곳이다. 청호동 모래 둔덕에 집단 정착촌을 이룬 것이 바로 아바이마을이다. 이제 실향민 1세대들은 대부분 사망하고,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가고 있다.

아바이마을은 2000년 KBS-2TV 드라마 「가을동화」 촬영지로 전국적인 유명세를 얻으며 속초시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다. 아바이순대는 실향민의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음식이다.

참고문헌

논문

박승일, 「속초 〈실향민문화축제〉와 〈갯배예술제〉 콘텐츠 분석」(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손정우, 「순대의 문헌적 고찰」(『배화논총』 16-17, 배화여자대학교, 1998)
오순덕, 「조선시대 순대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7-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