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옥 ()

국방
인물
한국계 미국인 2세로, 미국 육군 대령 출신의 군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9년 1월 29일
사망 연도
2005년 12월 29일
본관
없음
출생지
미국 로스엔젤스카운티
주요 경력
미국 육군 대령, 일본계 미군장병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회 회장, 한미박물관(KAM) 창립이사, 이사장, 미국국방부 노근리사건진상조사위원회 위원
대표 상훈
태극무공훈장, 프랑스 레종 도뇌르 무공훈장
관련 사건
제2차 세계대전, 6·25전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영옥은 한국계 미국인 2세로, 미국 육군 대령 출신의 군인이다. 1919년 1월 29일에 출생하여, 2005년 12월 29일 향년 86세로 영면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과 6·25전쟁 참전 영웅이자 한국·프랑스·이탈리아 등 3개국에서 최고 무공 훈장을 수여받은 전쟁 영웅이다. 그가 미국 및 한국 사회에서 매우 큰 존경을 받는 이유는 전쟁에서 세운 공로 때문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사회 봉사 활동을 벌여 왔기 때문이다.

정의
한국계 미국인 2세로, 미국 육군 대령 출신의 군인.
인적사항

1919년 1월 29일 주1에서 아버지 김순권과 어머니 노라 고(Nora 高) 사이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주요 활동

벨몬트고등학교를 거쳐 로스앤젤레스 시립대학교에 들어갔지만, 1년 후 자퇴를 하고 미 육군에 병사로 입대하였다. 제이 차 세계 주2 중 장교후보생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한 김영옥은 주3로 임관된 후 일본계 2세들로 구성된 ‘100대대’ B중대 2소대장을 맡았으며, 주4로 진급된 직후에는 미5군에 배속되어 이탈리아 전선(戰線)에 투입되었다.

그는 이탈리아 ‘볼투르노강 전투’ 및 독일의 주5이었던 ‘구스타프 라인과 고딕 라인’ 붕괴 과정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제이 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주6로 전역하였으나, 6·25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주7 소집 방식으로 육군에 재입대하여 한국인 유격대인 ‘배내대 유격대’를 지휘하면서 정보 수집 업무를 맡았다.

1951년 주8으로 진급하면서 은성 무공훈장 및 동성 무공훈장을 받고 정식으로 제1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65년 주9으로 진급한 김영옥은 1972년까지 미국 육군으로 복무하면서 미 육군 보병 주10 교관, 독일 주둔 육군 주11, 주한미군 군사 주12 등을 역임하였다.

전역 후에는 로스앤젤레스의 한인 건강 정보 센터, 한미 연합회, 한미 박물관 등을 만드는 데 공헌하였고,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조사 위원회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도 기여하였다.

그가 미국 사회에서 존경을 받는 이유는 전쟁에서 세운 공로 때문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 봉사 활동을 벌여 왔기 때문이다. 즉 주13의 대대장으로 근무하던 시절, 김영옥은 직접 고아원을 설립하여 고아들을 보호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재정 지원을 하였다. 또한 휴가를 나가는 병사들에게 위문품을 들고 고아원을 방문하도록 하였으며, 인종 차별 철폐 운동도 벌였고, 미국에서 가정 폭력을 당한 아시아계 여성들을 위한 ‘아시안여성포스트홈’도 건설하는 등 봉사 활동에도 주14.

상훈과 추모

2005년 10월 투병 중 태극 무공훈장을 수여받았으며,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훈장 모란장과 한국방송공사의 ‘KBS해외동포상’을 수상하였다. 이밖에도 2006년 8월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재외동포사』에 김영옥을 수록하였으며, 2006년에는 로스앤젤레스의 주15에 ‘김영옥초등학교’가 개설되었으며, 2009년에는 ‘영옥김 아카데미’가, 2015년에는 서울에 ‘(사)김영옥평화센터’가 설립되었다. 김영옥은 2023년 아시아계 최초로 미국 육군 장교 교육 주16인 지휘참모대학(CGSC)의 ‘명예의 전당’에 주17.

참고문헌

단행본

한우성,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 (2005)

논문

노순용, 「아름다운 영우 김영옥 대령 리더십 연구: Total 리더십 관점에서」 (『정신전력연구』 62, 정신전력원, 2020)

인터넷 자료

MBC, 「영웅, 김영옥대령」(https://www.imbc.com/broad/tv/culture/dspecial/commingsoon/1469629_6900.html)

기타 자료

국방부, ‘세계인이 존경하는 전쟁영웅이 되다: 2차 세계대전과 6·25전쟁의 영웅 김영옥 대령’, 『국방부』, (2022.7.)
고 포 브로크재단, 「잊혀진 용맹(Forgotten Valor: 김영옥 추모 영화)」 (2001)
주석
주1

캘리포니아주 서남부에 있는 도시. 석유 공업과 영화 산업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서부의 상업 중심지이며 휴양지로도 알려져 있다. 면적은 1,202㎢. 우리말샘

주2

세계 경제 공황 후, 파시즘 체제에 있던 독일ㆍ이탈리아ㆍ일본 등의 군국주의 나라와 미국ㆍ영국ㆍ프랑스 등의 연합국 사이에 일어난 세계적 규모의 전쟁. 1939년에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함으로써 시작되어 독일과 소련의 전쟁, 태평양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1943년 9월에 이탈리아, 1945년 5월에 독일, 1945년 8월에 일본이 항복하면서 끝났다. 우리말샘

주3

위관 장교의 세 계급 가운데 맨 아래 계급. 준위의 위, 중위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4

위관 계급의 하나. 대위의 아래, 소위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5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하여 진을 쳐 놓은 전선(戰線). 우리말샘

주6

위관 계급의 하나. 소령의 아래, 중위의 위로 위관 계급에서 가장 높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7

병역법에서, 현역을 마친 사람. 또는 그런 사람에게 일정 기간 부여되는 병역. 평상시에는 일반인으로 생활하다가 국가 비상시나 훈련 기간에 소집되어 군무에 종사한다. 우리말샘

주8

영관 계급의 하나. 중령의 아래, 대위의 위로 영관 계급에서 가장 낮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9

영관 계급의 하나. 준장의 아래, 중령의 위로 영관 계급에서 가장 높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10

육군에서, 보병 병과 장교들을 대상으로 보병에 필요한 전술ㆍ학술을 재교육하는 학교. 우리말샘

주11

대대를 지휘하고 통솔하는 최고 지휘관. 주로 영관급 장교로 임명한다. 우리말샘

주12

군사 고문으로 이루어진 단체. 외국에서 군사 원조를 받는 나라에 파견되어 원조 상황을 관찰하고 원조 사무를 보며, 군사 훈련 계획의 실시를 돕는다. 우리말샘

주13

육군의 주력을 이루는 전투 병과. 소총(小銃)을 주 무기로 삼으며, 최후의 돌격 단계에서 적에게 돌진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우리말샘

주14

있는 힘을 다하다. 우리말샘

주15

외국에 사는 한국 사람들이 세운 한국식 거리. 우리말샘

주16

교육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곳. 좁게는 학교를 이르며, 넓게는 교육 행정 기관도 포함한다. 우리말샘

주17

우수한 업적을 인정받아 명예로운 자리에 오르게 되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