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울산고속도로 ()

교통
지명
경상남도 함양군을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고속도로.
이칭
이칭
고속 국도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함양울산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함양군을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함양울산고속도로는 영남권과 호남권을 잇는 동서간선망을 보완하고 경상남도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간 지역 교류 활성화와 경상남도 내륙 지역의 관광 자원 및 산업 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속도로는 경남서북부 함양에서 울산까지 동서를 연결하는 144.6km 초장거리 고속도로로 밀양-울산 구간은 2020년 선개통하였으며, 창녕-밀양구간 2024년, 함양-창녕구간 2026년 등 단계적으로 완료해 나갈 계획에 있다.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을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고속도로.
건립 경위

함양울산고속도로는 영남권과 호남권을 잇는 동서 간선망을 보완하고 경상남도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간 지역 교류 활성화와 경상남도 내륙 지역의 관광 자원 및 산업 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신규 건설 중인 고속도로로 2026년 개통할 계획이다.

본 고속도로는 경남 서북부 함양에서 울산까지 동서를 연결하는 144.6km 초장거리 고속도로로 밀양-울산 구간은 2020년 선개통하였으며, 창녕-밀양 구간은 2024년에, 함양-창녕 구간은 2026년에 단계적으로 개통을 완료해 나갈 계획이다.

형성 및 변천

대통령령 제24267호 고속 국도 노선 지정령에 의거하여 기점인 함양군의 지명과 종점인 울산광역시의 지명을 붙여 고속도로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

2003년에 기획재정부의 예비 타당성 조사가 실시되어, 2005년에 국토해양부의 타당성 조사를 통해 사업 계획이 수립되었다. 2006년 한국도로공사에 의해 함양-밀양 구간의 기본 설계에 착수하였으며, 2009년에 환경 영향 평가서가 수립되었다. 이후 2012년 12월에 대통령령에 의거하여 고속도로의 명칭과 노선번호가 지정되었으며, 2014년 3월 10일 밀양-울산 구간이 최초로 착공되었다.

함양울산고속도로는 함양군 마산리를 기점으로 한다. 함양군을 통과하는 구간은 지곡면, 수동면, 안의면이며 전체 연장 7.65㎞의 구간이다. 함양군 통과 구간은 제1공사구역과 제2공사구역에 속해 있으며 1공사구역은 쌍용건설, 2공사구역은 동부건설에서 담당하고 있다. 함양울산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을 기점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 의령군, 창녕군, 밀양군, 양산시를 통과하여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을 종점으로 한다.

전체 공사 구간을 함양-창녕, 창녕-밀양, 밀양-울산 구간으로 구분하여 2014년부터 부분적으로 착공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왕복 4차로, 폭 23.4m인 고속도로로 설계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교량(橋梁) 8개소(1,722m), 터널 2개소(2,179m), 분기점 1개소, 졸음쉼터 1개소가 있으며, 총 공사비 1,607억 원(보상비 제외) 규모이다.

현황

함양울산고속도로는 함양군을 통과하는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統營大田中部高速道路)와 만나게 됨에 따라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일대에 북함양 분기점이 신설될 예정이며, 고속도로 내에 12개의 분기점과 나들목이 건설될 예정이며, 2개의 고속도로 휴게소가 건설될 예정이다. 제1공사구역에는 북함양 분기점을 비롯하여 지곡교, 내백교 등 전체 8개의 교량이 설치될 예정이며 지곡터널, 수동터널 외에 두 개의 터널이 신규 개통될 예정이다. 또한 북함양 분기점의 경우,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668-13 일원에 준직결 티(T)형의 형태로 284억 원의 비용을 투입하여 건설될 예정이다.

함양군은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光州大邱高速道路)가 관통하고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완공되면 남부 내륙 교통의 중심지로서 대전과 대구, 광주 등 상당수 대도시가 1시간 거리인 사통팔달(四通八達)의 교통망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은 교통의 이점을 살려 함양군은 2019년 4월 대규모 첨단물류센터 건립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하는 등 기업 유치를 통해 물류와 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2002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함양~울산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한국개발연구원, 2003)
『함양~울산 고속국도 타당성조사』 (국토교통부, 2005)
『2007년도 수요예측 재조사 보고서 함양~울산 고속국도(4공구) 건설사업』 (한국개발연구원, 2007)

인터넷 자료

경남도청 홈페이지(https://www.gyeongnam.go.kr/index.gyeong)
디지털함양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0191)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https://www.ex.co.kr/)
함양군청 홈페이지(https://www.hygn.go.kr/main.web)

기타 자료

「도로구역 결정 고시(함양~밀양간 고속도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383호, 2017. 6. 19.)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