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며, 신라 구주(九州)의 하나인 전주(全州)를 토대로 일부 영역을 조정한 것이다.
995년(성종 14)에 당(唐)나라 태종 때의 지방제도인 십도(十道)를 본떠 편성한 도의 하나이다. 당나라의 강남도(江南道)는 양쯔강 남쪽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며, 현재의 저장성[浙江省], 푸젠성[福建省], 장시성[江西省], 후난성[湖南省] 지역에 걸쳐 있다. 고려의 강남도는 명칭을 차용한 것일 뿐이며, 지리적 조건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강남도는 관내에 43현(縣)을 두었고, 이를 9개의 주(州)로 편제하였다. 여기에는 전주와 영주(瀛州), 순주(淳州), 마주(馬州) 등이 있었다. 영주는 지금의 전북 정읍시 고부면에 해당하는 지역이고, 순주는 전북 순창, 마주는 전북 익산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소속 관원으로는 절도사(節度使)가 전주에 1곳, 관찰사(觀察使)가 영주에 1곳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며, 순주와 마주에는 자사(刺史)가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1018년(현종 9) 지방제도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전주목(全州牧) 관할이 되었다.
기록에서 ‘강남도’라는 명칭이 사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강남(江南)’은 일반적으로 남부 지방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경우의 ‘강’은 보통 한강을 가리킨다.
1016년(현종 7) 강남에 기근이 들자 관내 창고의 곡식을 옮겨 진휼한 기사가 있는데, 여기에 보이는 강남과 관내는 강남도와 관내도(關內道)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한강 이남과 이북을 나누어 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