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해도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 초기, 경주(慶州)를 중심으로 동남해안 지역에 설치되어 해적 방어와 대일(對日) 교섭, 관내 순찰 등을 담당한 행정 구역.
이칭
이칭
동남해(東南海)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고려 초기
폐지 시기
고려 전기(12세기경)
지역
경상도 동부 및 남부 해안 지역
내용 요약

동남해도는 고려 초기에 경주(慶州)를 중심으로 동남해안 지역에 설치되어 해적 방어와 대일(對日) 교섭, 관내 순찰 등을 담당한 행정 구역이다. 동남해도에는 선병(船兵)을 지휘하는 도부서(都部署)가 설치되었으며, 해적 방어 및 대일 교섭이 주된 업무였다. 이와 함께 순찰을 통해 민사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후에 오도제(五道制)가 정착함에 따라 경상도(慶尙道)에 흡수되었다.

목차
정의
고려 초기, 경주(慶州)를 중심으로 동남해안 지역에 설치되어 해적 방어와 대일(對日) 교섭, 관내 순찰 등을 담당한 행정 구역.
위치

지금의 경상도 동부 및 남부 해안 지역에 해당한다.

형성 및 변천

통상 ‘동남해(東南海)’라고 불렀으며 공식적으로 ‘도(道)’까지 붙여 사용한 사례는 없다. 하지만 기능적으로 도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관할 범위는 경주(慶州)를 중심으로 동해안 일부와 남해안 일부를 포함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지방 제도를 개편하면서 예주(禮州: 영덕군 영해읍), 울주(蔚州: 울산), 양주(梁州: 양산), 금주(金州: 김해) 등 4곳에 방어사(防禦使)가 설치되었다. 동남해안 지역은 일본이나 동여진(東女眞) 해적의 노략질이 빈번하게 일어났기 때문에 민사 행정 중심의 주1 대신 군사 기능이 중요한 방어사를 둔 것이다. 경주와 함께 이들의 관할 지역을 묶어 ‘동남해’로 칭한 것이다.

동남해에는 동계 북부의 진명현(鎭溟縣) 및 원흥진(元興鎭)과 더불어 선군(船軍)과 선박을 관리하는 관청인 도부서(都部署)가 설치되었다. 동남해도부서는 1049년(문종 3)에 처음 사례가 보여 그 이전에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책임자는 도부서사(都部署使)이며, 본영(本營)은 본래 경주에 있었으나 뒤에 김해로 옮겼다.

동남해도부서는 해안 방어와 대일(對日) 교섭이 주된 기능이었지만, 관내의 민사 업무까지 담당하면서 도에 해당하는 기능도 수행하였다. 일례로 주2의 죄수들을 점검하고 판결할 때 보통 계수관의 관원이 돌아다니며 처리하였지만, 동남해는 도부서가 담당하였다.

995년(성종 14)에 설치한 10도, 즉 관내도(關內道) · 중원도(中原道) · 하남도(河南道) · 강남도(江南道) · 영남도(嶺南道) · 영동도(嶺東道) · 산남도(山南道) · 해양도(海陽道) · 삭방도(朔方道) · 패서도(浿西道)를 현종 때 5도양계, 즉 양광도(楊廣道) · 경상도(慶尙道) · 전라도(全羅道) · 교주도(交州道) · 서해도(西海道)와 동계(東界) · 서계(西界)로 개편하였다.

오도(五道)가 자리를 잡으면서 도의 기능은 경상도(慶尙道)로 흡수되었다. 이 때문에 도부서사를 경상도 주3의 전신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동남해를 분리하여 사신을 보내기도 하였다. 1128년(인종 6)에는 동남해 안무사(安撫使)가 거제도 지역의 해적이 투항한 것을 보고한 사례가 확인된다.

참고문헌

원전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남규, 『고려양계지방사연구』(새문사, 1989)

논문

윤경진, 「고려 안찰사의 연원과 ‘오도안찰사’의 성립」(『한국문화』 61,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13)
김호종, 「동남해도부서사의 설치와 그 기능: 금주본영을 중심으로」(『민족문화논총』 20,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9)
김남규, 「고려도부서고」(『사총』 11,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66)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지방 행정 구역인 주(州)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2

서울 이외의 지방.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각 도의 행정을 맡아보던 으뜸 벼슬. 현종 3년(1012)에 절도사를 고친 것이며, 문종 20년(1066)에 도부서(都部署)로 고쳤다.    바로가기

집필자
윤경진(경상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