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경상도 동부 및 남부 해안 지역에 해당한다.
통상 ‘동남해(東南海)’라고 불렀으며 공식적으로 ‘도(道)’까지 붙여 사용한 사례는 없다. 하지만 기능적으로 도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관할 범위는 경주(慶州)를 중심으로 동해안 일부와 남해안 일부를 포함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지방 제도를 개편하면서 예주(禮州: 영덕군 영해읍), 울주(蔚州: 울산), 양주(梁州: 양산), 금주(金州: 김해) 등 4곳에 방어사(防禦使)가 설치되었다. 동남해안 지역은 일본이나 동여진(東女眞) 해적의 노략질이 빈번하게 일어났기 때문에 민사 행정 중심의 지주사(知州事) 대신 군사 기능이 중요한 방어사를 둔 것이다. 경주와 함께 이들의 관할 지역을 묶어 ‘동남해’로 칭한 것이다.
동남해에는 동계 북부의 진명현(鎭溟縣) 및 원흥진(元興鎭)과 더불어 선군(船軍)과 선박을 관리하는 관청인 도부서(都部署)가 설치되었다. 동남해도부서는 1049년(문종 3)에 처음 사례가 보여 그 이전에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책임자는 도부서사(都部署使)이며, 본영(本營)은 본래 경주에 있었으나 뒤에 김해로 옮겼다.
동남해도부서는 해안 방어와 대일(對日) 교섭이 주된 기능이었지만, 관내의 민사 업무까지 담당하면서 도에 해당하는 기능도 수행하였다. 일례로 외방의 죄수들을 점검하고 판결할 때 보통 계수관의 관원이 돌아다니며 처리하였지만, 동남해는 도부서가 담당하였다.
995년(성종 14)에 설치한 10도, 즉 관내도(關內道) · 중원도(中原道) · 하남도(河南道) · 강남도(江南道) · 영남도(嶺南道) · 영동도(嶺東道) · 산남도(山南道) · 해양도(海陽道) · 삭방도(朔方道) · 패서도(浿西道)를 현종 때 5도양계, 즉 양광도(楊廣道) · 경상도(慶尙道) · 전라도(全羅道) · 교주도(交州道) · 서해도(西海道)와 동계(東界) · 서계(西界)로 개편하였다.
오도(五道)가 자리를 잡으면서 도의 기능은 경상도(慶尙道)로 흡수되었다. 이 때문에 도부서사를 경상도 안찰사(按察使)의 전신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동남해를 분리하여 사신을 보내기도 하였다. 1128년(인종 6)에는 동남해 안무사(安撫使)가 거제도 지역의 해적이 투항한 것을 보고한 사례가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