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명 ()

개신교
인물
해방 이후, 숭실대학교 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협회(大韓基督敎敎育協會) 회장, 서울장로회신학교 교장 등을 역임(歷任)한 목사. 교육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9년
사망 연도
1985년
본관
진주
출생지
경상북도 영주
주요 저서
<아동가요곡선 삼백곡>(1938), <영혼의 닻>(1968), <강신명신앙저작집>(1987)
주요 경력
영락교회, 새문안교회 목사
대표 상훈
국민훈장 모란장(1970)
관련 사건
수양동우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강신명은 해방 이후에 숭실대학교 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협회 회장, 서울장로회신학교 교장 등을 역임한 목사이자 교육자이다. 선천남교회, 선천북교회, 영락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으며, 새문안교회에서 24년 동안 재직하고 원로 목사로 추대되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교단 목사로서 교계 연합 활동인 에큐메니칼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1970년대까지 반인권적 독재 정치에 반대하여 활동하였다. 교육사업의 공로를 인정받아 1964년, 미국 스털링대학교의 명예 신학 박사 학위와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정의
해방 이후, 숭실대학교 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협회(大韓基督敎敎育協會) 회장, 서울장로회신학교 교장 등을 역임(歷任)한 목사. 교육자.
인적 사항

강신명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호는 소죽(小竹)이다. 1909년, 경상북도 영주에서 태어났다. 목사인 강병주(姜炳周)와 최영주(崔榮周)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이영신(李永信)과 결혼하였다.

주요 활동

기독교 사립학교인 영주 내명학교와 풍기초등학교(豊基初等學校), 공주 영명학교(永明學校), 배재학교, 대구 계성중학교를 거쳐 1934년, 평양의 숭실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1934년,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여 평양 서문밖교회와 선천(宣川)남교회에서 전도사(傳道師)로 일했다.

음악에 조예가 깊어 1936년, 평양합창협회를 조직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아동가요곡선 삼백곡』을 발행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선천경찰서에 구류되었으며, 『아동가요곡선 삼백곡』 중 동요 2곡이 조선의 희망을 노래한다는 주1을 판결받아 일제로부터 30원의 벌금형을 받았다.

1938년,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고 선천남교회에 목사로 부임하여 본격적인 주2를 시작하였다. 1940년, 일본의 동경신학교에서 수학하였으며 같은 해에 다시 동요곡집을 일본에서 재발간하였다. 그 후 1942년에 선천북교회 목사로 부임하였다.

1945년, 광복이 되자 자신의 신사 주3와 시국 강연을 주4 자숙하고자 교회를 주5. 이후 월남하여 1947년, 피난민 교회였던 서울의 영락교회(당시 베다니교회)에서 성가대 지휘자로 봉사하다가 1947년부터 한경직(韓景職) 목사와 함께 동사목사(同事牧師)로 일했다. 1949년, 합동 찬송가 편찬에 참여하고, 1951년에 미국으로 가 1953년에 프린스턴신학교(Princeton神學校)에서 교회사 분야의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55년에 영락교회를 사임하고 서울 새문안교회에 부임하여 24년 동안 목회를 하였다. 1963년,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교단의 제48회 총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80년, 새문안교회 원로 목사로 주6.

1965년, 장로교연맹체추진위원회 위원장, 1977년, 한국기독교선교단체협의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75년, 한국교회지도자협의회 창립에 참여하였다. 그 외 사단법인(社團法人) 세계대학봉사회의 이사와 이사장, 주7를 역임했으며, 기독공보(基督公報) 이사, 한국기독교연합회 총무, 한국기독교선교단체협의회 회장, 선교문제연구원 원장을 맡았다.

교회 연합을 지향하는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여 교계 연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1970년대까지 반인권적 독재 정치에 반대하여 활동하였다. 1965년에는 김재준(金在俊), 한경직, 강원룡 등과 함께 ‘한일협정 비준 반대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974년, 주8으로 구속된 이들을 위한 기도회 설교를 맡았다. 1975년 3월 20일, 전국기독교정의구현성직자단을 창립하고 고문이 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일에는 18개 교단 지도자와 함께 한국교회지도자협의회를 창립하였다. 또한 1977년, 주한미군 철군 반대 한국기독교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78년에는 한국기독교민주당(기민당) 주9에 참여하였다.

1980년 10월 1일부터 1981년 3월까지 대한민국 제5 주10국가보위입법회의(國家保衛立法會議)에 입법 의원으로 참여하여 비판을 받았다.

교육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서울 동흥중학교 교장, 숭실대학교(崇實大學) 재단 이사, 계명대학교(啓明大學) 재단 이사,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의 재단 이사 및 이사장, 마산 창신학원 이사, 숭실대학교 이사장, 숭실대학교 총장, 숭전대학교 이사장과 총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대한기독교교육협회(大韓基督敎敎育協會) 회장에 3번 선출되었으며, 서울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여 1962년부터 1985년까지 교장으로 재직하였다.

사상과 작품

저서로 『아동가요곡선 삼백곡』(1938), 『영혼의 닻』(1968), 『강신명신앙저작집』(1987)이 있다.

상훈과 추모

목회와 교육 사업의 공로를 인정받아 1964년, 미국의 스털링 대학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육 사업에 대한 공로가 인정되어 1970년, 국민훈장(國民勳章) 모란장이 수여되었다. 1984년에는 조선일보(朝鮮日報)가 주최하고 평북중앙도민회가 제정한 종교 부문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삼백곡』 (농민생활사,1938)
강신명, 『영혼의 닻』 (기독교어린이문화관, 1968)
강신명, 『105인설교선집』 (한국기독교문학연구소, 1978)
강신명, 『강신명 신앙 저작집』 (기독교문사, 1987)
김명구, 『소죽 강신명 목사』 (서울장신대학교 출판부, 2009)
정병준, 『강신명 목사의 생애와 사상』 (한국장로교출판사, 2016)

논문

이혜정, 「강신명 목사의 활동에 관한 연구: 정치적 태도와 인식, 에큐메니컬 운동, 동요보급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5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1)
주석
주1

사상이나 태도 따위가 통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 우리말샘

주2

목사가 교회를 맡아 설교하거나 신자의 신앙생활을 지도하는 등 공식적으로 행하는 활동. 형태는 교회에 따라 다양하며 초대 교회에서 발전한 형태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따위의 몇몇 교회에 보존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3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우리의 종교와 사상 자유를 억압하기 위하여 신사에 배례하도록 강요하던 일. 우리말샘

주4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다. 우리말샘

주5

맡아보던 일자리를 스스로 그만두고 물러나다. 우리말샘

주6

윗사람으로 떠받들어지다. 우리말샘

주7

어떤 기관이나 단체에서 모든 사무를 관리ㆍ감독하며 결재함.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8

‘민주화 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에서, 1964년 3월 24일 이후 자유 민주적 기본 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하여 헌법이 지향하는 이념 및 가치의 실현과 민주 헌정 질서의 확립에 기여하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ㆍ신장시킨 활동. 우리말샘

주9

정당이 새로 만들어짐. 또는 정당을 새로 만듦. 우리말샘

주10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사망 후, 1980년 10월 27일에 발효된 새 헌법에 따라 세워진 우리나라의 다섯 번째 공화국. 12ㆍ12 군사 반란과 5ㆍ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을 계기로 집권한 신군부의 주도에 의하여 출범하였으며 대통령 간선제와 7년 단임제가 특징이다. 1981년 3월 3일 전두환 대통령이 취임한 후 1988년 2월까지 존속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