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26m. 1997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2m가 넘는 바위에 얕게 새긴 선조(線條)의 인물상이다.
결가부좌(結跏趺坐)의 자세로 앉아 합장하고 있는 상으로 머리는 소발이며 정수리는 위로 볼록하게 솟아 있다.
얼굴은 신체에 비해 큰 편이나 살이 빠져 홀쭉하다. 이마에는 원형의 백호공(白毫孔)을 나타내었으며, 눈은 직사각형으로 크고 길게 새겼다. 눈 아래에는 한 줄 음각선을 넣어 눈 그늘을 표현했다.
코는 크고 입은 웃는 듯 선이 율동적이나 윤곽의 음각선이 불분명하다. 턱 밑의 얼굴 윤곽선이나 목선 등은 새김의 깊이가 매우 얕아 선이 선명하지 않다.
상체는 긴 직사각형으로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합장하고 있는데 가사는 걸치지 않았다. 결가부좌의 자세를 표현하기 위해 다리 위에는 양쪽 발을 대칭적으로 표현하였는데 발바닥을 커다랗게 평면적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왼쪽 발은 오른쪽 발보다 더 생략적으로 표현하였다. 앉아 있는 대좌는 직사각형으로 방석 같은 형태인데 윤곽선을 고르게 처리하지 못하여 굴곡진 부분이 있다.
결가부좌의 자세나 합장인(合掌印)의 손 모습 등에서 드러나듯이 불교의 조각상으로 생각되나, 불보살상(佛菩薩像)과 같은 수준의 예배 대상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살이 빠져 광대뼈가 드러나는 얼굴에 이골(耳骨)을 표현하였고 크고 길게 늘어진 귀 등에서 수도에 정진하는 승려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군데군데 마모된 부분도 있으나 기술적인 미숙함으로 인해 생긴 현상으로 보인다.
깊은 인상을 주는 사실적인 얼굴 표현과 달리 신체는 단순한 윤곽선만으로 매우 간략하게 표현하였고 긴 상체에 전체적으로 빈약해진 조법(彫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