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사지 석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
합천 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백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백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2.53m.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팔각의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좌상으로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를 잃었으며 전체적으로 표면의 마모가 심한 편이다.

머리에는 높은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표현되었다. 얼굴은 계란형의 갸름한 윤곽이며, 이목구비의 세부는 살펴보기 어렵다.

넓게 벌어진 어깨에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치고 있다. 그리고 법의 깃이 넓게 트인 가슴에는 의복이 표현되었다.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땅을 가리키고 있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을 취하고 있다.

대좌는 상 · 중 · 하단을 갖춘 연화대좌로 상대석에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 하대석에는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표현되었다. 상대석은 마멸이 심해 연판(蓮瓣 : 연꽃잎)이 희미해졌다.

8각의 중대석에 모서리마다 기둥을 돋을새김하였고, 각 면마다 입상(立像)의 보살형 인물상을 새겨 놓았다.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 온 탓에 마멸은 심하지만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신체에 단정한 인상의 얼굴, 넓은 어깨와 양감이 드러나는 상체 그리고 안정감 있게 앉아 있는 자세에 두부(頭部)와 신체의 비례가 조화로운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불상으로 추정된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이 사지(寺址)는 대동사지 또는 백암사지(伯巖寺址)라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 「백암사석탑사리(伯巖寺石塔舍利)」조에 의하면, 신라 말에 이미 폐사되어 그 세운 내력도 알 수 없었다 한다.

또한 신라 말에 10년간을 이 절에 머물렀다는 경양화상(競讓和尙)의 정진국사탑비(靜眞國師塔碑)에도 백암사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절의 원래 이름은 백암사가 옳은 것 같다. 절터 주변에는 비천상 등이 새겨진 잘 다듬은 석재가 흩어져 있고, 바로 옆에는 통일신라 양식의 석등이 있어 이 상이 10세기에 만들어졌을 추정을 뒷받침한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경남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한국미술사자료집성(韓國美術史資料集成)』 1 -삼국시대(三國時代)·고려시대(高麗時代)-(진홍섭, 일지사, 1987)
집필자
심영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