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 집안에 태어났으나 음악적인 재질이 뛰어나 어려서부터 글 배우기를 싫어하고 판소리만 배우다가 집안에서 쫓겨났다고 한다. 그는 판소리에서 가장 오래된 명창으로 알려진 하은담(河殷潭)과 최선달(崔先達)에게서 판소리를 배웠다는 설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특히, 권마성(勸馬聲) 소리제를 응용하여 ‘판소리 설렁제’라는 특이한 소리제를 낸 것으로 유명하다. 이 소리제는 높은 소리로 길게 질러 내는 성음인데 「흥보가」에서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과 「춘향가」에서 ‘군노사령 나가는 대목’ 등 여러 대목에 쓰이고 있는바, 권마성과 같이 매우 씩씩하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그의 호탕하고 씩씩한 가조(歌調)를 두고 신재효(申在孝)는 그의 「광대가(廣大歌)」에서 ‘권생원(權生員) 사인(士仁) 씨는 천층절벽(千層絶壁) 불끈 소사 만장폭포(萬丈瀑布) 월렁궐렁 문기팔대(文起八代) 한퇴지(韓退之)’라 하여 절벽에서 떨어지는 폭포에 비유하고 있다.
그를 ‘가중호걸(歌中豪傑)’이라 부르는 속칭도 이 때문이다. 그는 8명창 가운데 가장 선배로서 그 이전에 있었던 원초(原初) 판소리와 비슷한 단순한 판소리를 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후인들의 평도 그의 소리가 단순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는 「흥보가」를 특히 잘 하였고, 그의 더늠인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은 전도성(全道成) · 송만갑(宋萬甲) · 김창룡(金昌龍)에 의해서 방창(倣唱)되고 있다. 또 염계달(廉季達)은 그의 창법을 많이 모방하였다고 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완주에 그의 묘가 있으며, 그 앞에 구멍이 패어 있는데, 소리구멍이라 하여 그곳에서 소리가 들린다는 전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