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도일(道一), 호는 손재(巽齋) · 정묵당(靜默堂). 사어(司禦) 권근중(權謹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권대운(權大運)이고, 아버지는 권위(權瑋)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이덕주(李德周)의 주1
1689년(숙종 15) 증광문과에 병과로 주2 독서당에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이듬해 도당록(都堂錄)에 뽑히고 사서(司書)에 이어 교리(校理) · 헌납(獻納) · 이조좌랑, 1691년 수찬(修撰) · 부교리 · 이조정랑, 1692년 부응교(副應敎) · 사간 · 승지, 1693년 대사간 · 대사성, 이듬해 이조참의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이 해 그를 등용한 민암(閔黯) 등이 실각하는 갑술옥사가 일어나자 관직을 삭탈당하고 고군산도(古群山島)에 주3 1708년 전리(田里: 고향인 시골 마을)로 방귀(放歸: 추방하여 돌아가게 함)되었다가 1721년(경종 1) 풀려나 이듬해 전라도관찰사에 기용되었으며, 1723년 함경도관찰사에 이어 이듬해 형조참의 · 호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28년 척질(戚姪) 이인좌(李麟佐)가 난을 일으키자 자살하였다. 저서로 『정묵당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