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체는 전한시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서 시작되었으며, 정형적인 모습은 후한시대 반고(班固)가 편찬한 『한서(漢書)』에서 갖추어졌다. 이후 중국 역대 왕조의 정사(正史)인 『25사(史)』가 모두 기전체로 편찬되었다. 중국의 경우, 정사의 편찬은 한 왕조가 멸망한 뒤 후속 왕조에 의해 전 왕조의 실록을 기본 자료로 이용하여, 기전체로 편찬하는 것이 정례였다.
우리나라 기전체 역사서는 고려 초기에 편찬된 『삼국사(三國史)』가 처음이지만 현재 전하지 않으며, 고려 중기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三國史記)』가 현전하는 최초의 기전체 사서이다. 조선 건국 이후 『고려사(高麗史)』가 기전체로 편찬되었는데, 국가에서 주도한 관찬 사서이다.
조선 후기 개인 학자들에 의해 고려 이전의 역사를 기전체로 편찬하는 경향이 확산되었다. 16세기 말 오운(吳澐)의 『동사찬요(東史纂要)』, 17세기 후반 허목(許穆)의 『동사(東事)』, 18세기 후반 이종휘(李鍾徽)의 『동사(東史)』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오운은 권근(權近)의 『동국사략(東國史略)』에 의거해 신라를 위주로 삼국시대를 서술하였다. 신라 왕을 표제로 내세우고, 그 밑에 고구려 · 백제의 역사를 부기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삼한의 위치에 관해서는 처음에 최치원설과 권근설을 모두 소개하였다. 그러나 한백겸(韓百謙)의 비판을 받고, 뒤에 개찬할 때 한백겸의 삼한설을 따로 수록하였다. 지리지 역시 한백겸의 충고에 의해 보완하여 간행했는데, 신라 · 고구려 · 백제 · 고려의 순으로 서술하였다.
허목은 단군 · 기자 · 위만 · 신라 · 고구려 · 백제는 세가(世家)로 하여 정통 국가의 역사로 서술했고, 부여 · 숙신 · 삼한 · 가락 · 예맥 · 말갈 등은 부용적인 국가로서 열전에 기록하였다. 이종휘는 단군 · 기자 · 삼한 · 후조선(위만)은 본기로, 부여 · 발해 · 가야 등은 세가로, 예맥 · 옥저 · 비류 · 낙랑 등은 역사적 인물과 함께 열전으로 기술하였다. 이는 세력의 크기에 따라 구분한 것이었다.
기전체는 역사를 군주와 그를 보필한 신하, 그리고 통치 제도를 삼원적으로 파악하는 역사 기술이었다. 하나의 자료가 내용에 따라 분류 · 서술되어 참고하기에 매우 긴요하지만, 역사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불편한 점도 없지 않다. 그러나 연대가 없는 자료까지 모두 실을 수 있는 장점도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