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년체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역사 기록을 연월일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재.
내용 요약

편년체는 기전체 및 기사 본말체와 더불어 동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오래된 역사 편찬의 체재 중 하나이다. 이것은 사마천이 『사기』를 편찬하기 전까지 널리 활용되었으며, 연월일 날짜순에 따라 사건을 기록하는 연대기 형식으로 역사를 정리하는 편찬 체재이다.

목차
정의
역사 기록을 연월일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재.
내용

오늘날 전하는 편년체(編年體) 주13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공자가 노나라 역사를 쓴 『춘추』이다. 전한시대 주1과 후한시대 초기 주2기전체로 역사를 정리하면서부터 중국의 주3는 모두 기전체로 편찬되었다. 주4주5주6』는 편년체로 쓰여졌다. 수 · 당대 이후 역사 기록과 편찬을 담당하는 사관(史館)이 설치되면서, 각 왕의 실록은 모두 편년체로 기술되었다. 주7 때 군주에게 정치적 교훈을 주기 위해 주8주9을 편찬하면서부터 편년체가 크게 발전하였다. 주10주11도 편년체 사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편년체 역사서는 일찍부터 편찬되었다. 고구려는 국초(國初)에 『유기』와 이를 바탕으로 정리한 이문진『신집』, 백제는 고흥에 의해 『서기』, 신라는 거칠부 등이 편찬한 『국사』 등이 있었는데, 모두 편년체 사서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도 사관이 설치되어 역사 기록을 남기고 왕이 죽은 뒤에 이를 정리한 각 왕의 실록은 모두 편년체로 편찬되었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 왕의 실록과 승정원에서 매일 일기를 쓴 『승정원일기』, 비변사의 회의록인 『비변사등록』, 왕의 일기인 『일성록』 등도 모두 편년체로 편찬되었다.

당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왕조의 역사 정리도 편년체로 기록된 것이 있다. 권근『동국사략』, 정도전『고려국사』, 권제 · 남수문 등의 『고려사전문』, 김종서 등의 『고려사절요』, 신숙주 등의 『삼국사절요』, 서거정 등의 『동국통감』주12 사서와, 박상『동국사략』, 유희령『표제음주동국사략』, 안정복『동사강목』 등도 모두 편년체 역사서이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주14주15도 편년체이다.

특징

편년체 사서의 장점은 편찬이 용이하다는 점과 역사 기록을 분산시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편년체는 역사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과 연대가 정확하지 않은 자료를 싣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 주16에는 널리 읽히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편년체 역사서가 많이 편찬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춘추』, 『한기』, 『자치통감』, 『자치통감강목』,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국사략』, 『고려국사』, 『고려사전문』,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동국통감』, 『동국사략』, 『표제음주동국사략』, 『동사강목』

단행본

한영우, 『조선 전기 사학사 연구』(서울대출판부, 1981)
한영우, 『조선 후기 사학사 연구』(일지사, 1989)
박인호, 『한국 사학사 대요』(이회, 1996)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지식산업사, 2002)
정구복, 『한국 근세 사학사』(경인문화사, 2008)
정구복, 『한국 중세 사학사』(경인문화사, 2014)

논문

김남일, 「조선 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 『자치통감강목』 서법의 편찬」(『한국사학사학보』 29, 한국사학사학회, 2014)
안예선, 「『자치통감』과 『사기』 비교-기사의 증보와 축소·삭제를 중심으로」(『중국문학연구』 77, 중국문학연구회, 2019)
오항녕,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순암 안정복의 당대사 편년체, 『열조통기』」(『한국실학연구』 25, 한국실학학회, 2013)
오항녕, 「조선 초기 실록 편찬 체재의 변화에 관한 사학사적 고찰」(『한국사학사학보』 1, 한국사학사학회, 2000)
최성환, 「한말 조선시대사 편찬의 동향과 『동감강목』의 영종조 대 서술」(『한국사학사학보』 28, 한국사학사학회, 2013)
주석
주1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B.C.145?~B.C.86?).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다. 우리말샘

주2

중국 후한 초기의 역사가ㆍ문학가(32~92). 자는 맹견(孟堅). 아버지 표(彪)의 유지를 받아 기전체 역사서인 ≪한서≫를 편집하였다. 작품에 <백호통의>, <양도부(兩都賦)#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정확한 사실의 역사. 또는 그런 기록. 우리말샘

주4

중국에서, 25년에 왕망(王莽)에게 빼앗긴 한(漢) 왕조를 유수(劉秀)가 다시 찾아 부흥시킨 나라. 220년에 위(魏)나라의 조비에게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5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148~209). 자는 중예(仲豫). 조조(曹操)의 부름을 받고 황문 시랑이 되어 헌제(獻帝)에게 강의하였다. 저서에 ≪신감(申鑒)≫, ≪한기(漢紀)≫가 있다. 우리말샘

주6

중국 후한(後漢) 때에, 순열이 편집한 편년체 역사서. ≪한서≫의 내용을 시대순으로 재편집하였다. 진나라 이세 황제 원년(B.C.209)부터 왕망의 신나라가 멸망하기까지의 역사를 기술하였으며, 후대 기전체 역사서의 모범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7

중국에서, 960년에 조광윤이 카이펑(開封)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1127년에 금(金)의 침입을 받아 정강의 변으로 서울을 강남(江南)의 임안(臨安)으로 옮길 때까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8

중국 북송 때의 학자ㆍ정치가(1019~1086). 자는 군실(君實). 호는 우부(迂夫)ㆍ우수(迂叟). 사마온공(司馬溫公)이라고도 한다. 신종 초에 왕안석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은퇴하고 철종 때에 재상이 되자, 신법을 폐하고 구법(舊法)으로 통치하였다. 저서에 ≪자치통감≫, ≪사마문정공집(司馬文正公集)≫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중국 송나라의 사마광이 영종의 명에 따라 펴낸 중국의 편년서. 주나라 위열왕으로부터 후주(後周) 세종에 이르기까지의 113왕 1362년간의 역대 군신의 사적(史跡)을 편년체로 엮은 것으로, 정사(正史) 이외의 풍부한 자료와 고증을 첨가하였다. 1065~1084년에 간행되었다. 294권. 우리말샘

주10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1130~1200). 자는 원회(元晦)ㆍ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ㆍ회옹(晦翁)ㆍ운곡산인(雲谷山人)ㆍ둔옹(遯翁). 도학(道學)과 이학(理學)을 합친 이른바 송학(宋學)을 집대성하였다. ‘주자’라고 높여 이르며, 학문을 주자학이라고 한다. 주요 저서에 ≪시전≫, ≪사서집주(四書集註)≫, ≪근사록≫, ≪자치통감강목≫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1

중국 송나라 때에 주자가 펴낸 사서(史書). 사마광의 ≪자치통감≫을 강목으로 나누어 편집한 것으로, 강에서는 주자가 사실(史實)을 요약하고, 목에서는 제자인 조사연이 사평(史評)을 하였다. 59권. 우리말샘

주12

관청에서 서적을 편찬함. 또는 그 서적. 우리말샘

주13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 우리말샘

주14

‘니혼쇼키’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우리말샘

주15

‘고지키’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우리말샘

주16

현대 이전의 시기.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