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충렬사 ( )

목차
관련 정보
남해 충렬사
남해 충렬사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에 있는 조선후기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의 넋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남해 충렬사(南海 忠烈祠)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73년 06월 11일 지정)
소재지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350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에 있는 조선후기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의 넋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내용

임진왜란 때 관음포(觀音浦)에서 순국한 이순신(李舜臣)의 영(靈)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사당이다. 197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당시 노량은 전라남도 여수를 떠나 충무로 가려면 거쳐야 하는 연안수로(沿岸水路)의 요충지였다. 1598년(선조 31) 이순신이 관음포 앞바다에서 순국하자 처음에는 이 곳에 유구(遺軀)를 안치하였다. 이순신의 유구는 이 곳에 가장(假葬)되었다가 이듬해인 1599년 2월 11일 충청남도 아산으로 이장했고, 이후 가분묘(假墳墓)만 남게 되었다.

그가 죽은 지 34년째 되던 1633년(인조 11)에 이 곳 선비들이 유지(遺址)에 작은 초사(草舍)를 지어 제향을 올리고 추모하기 시작하였다. 또 1658년(효종 9)에 초사를 헐고 비로소 사당을 건립하여 봄ㆍ가을로 제향을 지냈다.

1663년(현종 4)에 충무 충렬사와 함께 ‘충렬사’라는 사액(賜額)을 받았다. 이곳에 있는 4기의 비 가운데에는 이러한 중건사유를 자세히 기록한 비석이 있는데,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썼다.

이 사당이 세워진 그 당시에는 사당 옆에 호충암(護忠菴)이라는 암자가 있어 화방사(花芳寺) 승려 10여 명과 승장(僧將) 1명이 교대로 수직(守直)하였다.

현재 경내에는 사당을 비롯하여 비각ㆍ내삼문(內三門)ㆍ외삼문ㆍ재실ㆍ강당 그리고 일각문(一閣門)ㆍ부속건물ㆍ가묘소 등이 있으며, 면적은 1,045평이다.

1965년 당시 대통령 박정희(朴正熙)가 ‘충렬사’와 ‘보천욕일(補天浴日)’ 현판을 다시 썼고, 1973년 6월 사적으로 지정되면서 보수, 정화되었다.

참고문헌

『경상남도지(慶尙南道誌)』(경상남도, 1978)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문화재관리국, 197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계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