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궁 ()

목차
조선시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었던 조선후기 광해군의 세자빈 간택 관련 주택. 잠저(潛邸) · 별궁.
이칭
이칭
이현본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었던 조선후기 광해군의 세자빈 간택 관련 주택. 잠저(潛邸) · 별궁.
내용

배고개[梨峴]에 있었기 때문에 이현궁 또는 이현본궁이라 불리게 되었다. 창건연혁은 알 수 없으나 1610년(광해군 2)에 세자빈 간택이 있은 뒤 새로 수리하고 가례(嘉禮) 전에 옮겨 생활하는 별궁으로 삼게 하였다.

그 뒤 1623년(인조 1)에 원종(元宗 : 인조의 아버지)의 비인 연주부부인 구씨[連珠府夫人具氏 : 뒤에 仁獻王后로 추존]의 거소로 하면서 궁호를 계운궁(啓運宮)으로 고쳤다. 이어 병자호란 뒤에는 난으로 집이 없어진 인조의 아우인 능원대군(綾原大君)의 거처로 삼았다. 1631년(인조 9) 효종과 인선왕후(仁宣王后)의 가례가 이곳에서 행하여졌다.

이 후 숙종 때에는 숙빈방(淑嬪房)으로 삼았다가 1711년(숙종 37)에는 연잉군[延礽君 : 뒤의 영조]의 잠저를 이 곳에 두기도 하였다. 정조 때에 이 궁을 폐지하면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장용영(壯勇營)을 설치하였고, 순조 때는 장용영의 폐지와 함께 훈국(訓局)·동별궁(東別宮)·선혜청(宣惠廳)·동창(東倉) 등이 설치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국조보감(國朝寶鑑)』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서울육백년사』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 1987)
『한경지략』(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56)
집필자
정계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