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봉 남쪽에 있는 구릉의 남서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1981년 9월 정계옥(鄭桂玉) 등의 지표조사에 의해 독무덤 군집지역이 확인되었다.
지표조사만으로는 전체의 규모를 알 수 없으나 구릉의 남서부 경사진 곳에 독널편[甕棺片]으로 보이는 김해식 토기편들이 널려져 있으며, 부근의 지표에서 삼각형 돌칼 · 돌살촉 · 민무늬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구릉의 경사면이 깎여나가면서 지표에 드러나 파괴되어가고 있는 2기의 독널을 수습한 것이다.
1호 독널은 구릉의 남서부 8부 능선상에서 발견되었다. 30도 북쪽으로 기울어진 동서장축방향(東西長軸方向)이며, 2개의 토기를 합구시켜 횡치하였다. 움[土壙]은 풍화화강암에 바닥을 완만한 호형(弧形)을 이루게 하여 독널보다 2㎝ 정도 더 크게 구축하였다.
동쪽 독널[東棺]의 아가리부분 속에 서쪽 독널[西棺]의 아가리[口緣部]가 삽입되어 있었다. 동쪽 독널의 바닥[底部] 쪽이 구릉의 경사를 이용해 약간 높게 놓여 있었다.
동쪽 독널은 횡치된 상반부가 결실되어 있는 광구발형(廣口鉢形)으로 직립에 가까운 외반아가리를 가지며 표면 전체에 문살문[格子文]이 두드림[打捺]되었다. 바탕흙[胎土]은 고운 점토에 세사립이 약간 섞였고 적갈색을 띠며, 잔존 높이 42.5㎝, 최대 복경(最大腹徑) 41.8㎝, 구경(口徑) 22.5㎝, 두께 0.6∼1㎝이다.
서쪽 독널은 소성도(燒成度) · 성형수법 등이 동쪽 독널과 비슷하나 기형(器形)이 둥근밑[圓底]의 계란형태로 추정된다. 잔존 구경 27.6㎝, 최대 복경 37.2㎝, 높이 51㎝, 기벽 두께 0.7㎝이다.
2호 독널은 1호 독널에서 북쪽으로 50m 정도 떨어진 구릉의 북서부에서 출토되었다. 지표에 노출된 면이 대부분이라 움의 수혈선(豎穴線)이 분명하지 않으며 파괴의 정도도 심하다.
독널은 외독[單甕]으로서 13도 남쪽으로 기울어진 동서장축방향으로 횡치되어 있고 아가리는 서쪽을 향하고 있다. 주변에 이 독널과 비슷한 토기 아가리파편들이 흩어져 있어 같은 형태의 토기편으로 독널의 아가리를 막았을 것으로 보여 합개식(合蓋式)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다.
이 독널은 구형(球形)에 가까운 난형(卵形)으로 외반아가리에 둥근 밑을 이루고 있다. 또한 곱게 정선된 점토에 굵은 사립이 많이 섞인 회색연질로 기벽(器壁)이 두껍고 굵은 문살문이 타날되어 있다.
크기는 구경 29.4㎝, 최대 복경 49.5㎝, 높이 52㎝, 기벽 두께 1.2㎝로서 1호 독널 보다 약간 늦은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2호 독널 바닥이나 내부에서는 아무런 부장품도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