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추문 ()

목차
관련 정보
연추문(영추문)
연추문(영추문)
조선시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서편에 있었던 조선시대 겹처마 우진각지붕 형태의 문(門).
이칭
이칭
영추문(迎秋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서편에 있었던 조선시대 겹처마 우진각지붕 형태의 문(門).
내용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에 소재하고 있다. 영추문(迎秋門)이라고도 한다. 제형(梯形 : 사다리꼴)의 축대 위에 단층의 문루를 세우고 축대에는 중앙에 홍예문(虹蜺門)을 내어 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모든 칸이 개방되어 있다. 공포(拱包)는 2익공으로 우진각지붕이며 처마는 겹처마이다. 각 지붕에는 양성이 되고 취두(鷲頭)ㆍ용두(龍頭)ㆍ잡상(雜像)이 얹혀져 있고, 사래끝에는 토수(吐首 : 전각 네 귀의 추녀 끝에 끼는 용머리형이나 귀신머리형태의 장식)를 끼웠다.

축대 주변에는 여장(女墻 : 여러 사람이 담을 두르듯이 서 있는 모양)을 둘러 외호시설(外護施設)을 하였고 건물 옆면에 또 작은 홍예문을 내어 여장과 연결시키고 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1926년 일본인들이 경복궁의 전각(殿閣)들을 헐어낼 때 헐려 그 서쪽에 작은 문만을 내었는데 1975년에 원형대로 복원하였다. 광화문처럼 번다한 장식이 없이 소박한 분위기를 갖추고 있는데, 동쪽문인 건춘문(建春門)도 같은 규모와 형태를 하고 있다.

1975년 지금 모습으로 복원된 뒤 청와대 외곽 경호를 맡은 수경사 30경비단이 주둔하며 통재되었다. 2018년 통제 43년만에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참고문헌

『궁궐지(宮闕志)』
『朝鮮古蹟圖譜』10(朝鮮總督府, 1915)
『서울육백년사(六百年史)』(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계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