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이충무공 묘 ( )

목차
관련 정보
아산 이충무공 묘 전경
아산 이충무공 묘 전경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의 무덤.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아산 이충무공묘(牙山 李忠武公墓)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순절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 산2-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의 무덤.
개설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에 위치한다. 김육이 지은 글을 새긴 신도비와 이이명의 글을 새긴 묘비, 상석, 동자석, 문인석, 장명등, 석수 등이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현충사 관리소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이순신(李舜臣)은 1598년(선조 31) 정유재란(丁酉再亂) 중 이순신은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일본군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군대와 싸우다가 장렬히 전사하였다. 이듬해 2월에 고향인 아산군 어리산에 장사지냈다가 다른 곳으로 이장하였고, 다시 어리산에 있는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묘는 원형분(圓形墳)이며, 봉분 밑에는 호석을 둘렀다. 호석에는 전서(篆書)로 이순신과 부인이 묻혔다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봉분 앞에는 묘비(墓碑)·상석(床石)·동자석(童子石)·문인석(文人石)·망주석(望柱石)·장명등(長明燈)·석수(石獸) 등이 늘어서 있다. 봉분의 뒤쪽으로는 곡장을 둘렀다.

묘비는 1707년(숙종 31) 현충사(顯忠祠)가 사액 받을 당시에 판부사(判府事) 이이명(李頤命)에게 부탁하여 음기(陰記)로 새긴 것이다. 묘 입구에 있는 신도비는 영의정 김육(金堉)의 글이다.

이순신의 각 전적지에는 이항복(李恒福)의 전라좌수영대첩비, 이민서(李敏敍)의 명량대첩비(鳴梁大捷碑), 정기안(鄭基安)의 제승당유허비(制勝堂遺墟碑), 송시열(宋時烈)의 통제영충렬사기(統制營忠烈祠記), 이이명의 고금도유사기(古今島遺祠記) 등이 세워져있다.

순천의 충민사(忠愍祠), 해남의 충무사(忠武祠), 남해와 통영의 충렬사, 아산의 현충사(顯忠祠) 등에서 그를 봉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내고장전통가꾸기: 아산의 뿌리』(아산군 문화공보실, 아산군, 1982)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재대관: 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5)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정계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