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호흡 ()

목차
관련 정보
단전호흡
단전호흡
도교
개념
단전에 의식을 두고 호흡하며 정신을 가다듬는 종교수련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단전에 의식을 두고 호흡하며 정신을 가다듬는 종교수련법.
내용

도교에서는 익수연명(益壽延命)하기 위하여 유연체조의 일종인 도인(導引)을 비롯하여 식이요법 등 많은 수련법을 행하여왔는데 호흡법도 이런 맥락에서 개발된 것이다. 호흡법은 시대와 도맥(道脈)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기본적인 것은 태식법(胎息法)이다. 태식은 태아가 모태 내에서 입과 코가 아닌 탯줄을 통하여 원기(元氣)를 받아 들이듯이 호흡하는 것이다.

이 때 태아는 네 손가락으로 엄지손가락을 받치고 있는 악고(握固)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수일(守一)하기 위함이다. 수일이라는 개념에서 일(一)이라는 뜻은 몸 안의 원기 혹은 신(神)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세 개의 단전에 머무르고 있다고 한다. 상단(上丹)은 니환(泥丸)이라 하여 양미간 사이에서 3촌(寸) 들어간 곳, 중단(中丹)은 강궁금궐(絳宮金闕)이라 하여 명치에서 들어간 심장, 하단(下丹)은 흔히 말하는 단전으로서 배꼽 밑 2촌 4푼의 위치에 있다. 수일법은 몸 안의 단전에 있는 제신(諸神)을 보는 내관법(內觀法)과 통하는데, 이 법은 몸 안에 존재하는 신을, 정신을 통일하여 내시(內視)하는 것이다.

또한, 내관은 행기(行氣)와 더불어 행하여지는데, 행기란 기를 삼단전에 보내는 것이다. 호흡기를 통하여 들어온 기는 관원(關元)을 거쳐 하단전 혹은 기해(氣海)에까지 이르며, 수관(髓管)에 의하여 뇌(腦)에 도달하고, 뇌에서 다시 가슴으로 내려와 삼단전을 두루 거치게 된다. 이를 단전호흡이라고 하는데, 호흡시 주의할 점은 숨을 항상 코로 가늘고 길게 들이쉬고 조용히 입으로 내뿜는다고 하는 점이다.

행기법에는 정기(靜氣)와 동기(動氣)가 있는데, 정기에는 정좌(正坐) · 궤좌(跪坐) · 호좌(胡坐) · 기좌(奇坐) · 복좌(伏坐) · 횡좌(橫坐) · 반와(半臥) 등이 있고, 동기에는 만보(慢步) · 완보(緩步) · 속보(速步) · 쾌보(快步) · 포보(跑步) 등이 있다. 정기의 경우 초행자는 정와(正臥) 또는 복와(伏臥)로 하는데, 한 번 숨을 들이마신[納] 뒤 80∼100까지 센 뒤에 토하며, 중행자는 호흡의 토납(吐納)을 100∼300까지 센 뒤에 하며, 극행자(極行者)는 300∼1,200을 센 뒤에 한다. 동기의 경우, 초행자는 만보 · 완보로 하는데, 한 발짝 걸을 때 숨을 들이마시고 백 보 걸은 뒤에 토하며, 중행자는 호흡의 토납을 100∼300보 뒤에 하며, 극행자는 300∼1,200보 뒤에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도교의 장생수련법이 널리 행해지지는 않았으나, 유자(儒者)를 중심으로 한 지식층들 사이에서 도인과 단전호흡법이 건강관리법의 하나로 보급되었다.

『매월당집(梅月堂集)』에 보이는 천형(天形) · 용호(龍虎) · 복기(服氣) · 수진(修眞) 등의 글을 비롯하여, 저작자 없이 구전으로 전해져 오는 『단서구결(丹書口訣)』 · 『단가별지구결(丹家別旨口訣)』 및 정렴(鄭Ꜿ)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는 『용호결(龍虎訣)』(일명 북창비결) 등은 단전법의 수련을 실제로 행하기 쉽게 그 요체만을 간추려 적어 놓은 문헌이다.

참고문헌

『매월당집(梅月堂集)』
『용호비결(龍虎秘訣)』
『포박자(抱朴子)』
『운급칠첨(雲笈七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