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암맹자강설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재가 『맹자』의 모호한 구절을 발췌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재가 『맹자』의 모호한 구절을 발췌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서술방식은 각 장구별(章句別)로 문인의 물음에 저자가 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 가운데 「설궁장(雪宮章)」의 제선왕이 맹자를 설궁에서 만난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설궁은 왕의 별궁으로 왕이 현인을 대우하는 뜻에서 이곳에서 맞이한 것이라고 하였다.

「명당장(明堂章)」의 환과고독(鰥寡孤獨)에 대하여 그 경중(輕重)을 물은 대답은 환과는 부부, 고독은 부자로서 말한 것인데, 도리로서는 남편 없는 것[寡]이 아내 없는 것[鰥]보다 더하고 아비 없는 것[孤]이 아들 없는 것[獨]보다 더하겠지만, 궁박한 정세로는 오히려 환이 과보다, 독이 고보다 우선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라고 하였다.

「유례자경인(有禮者敬人)」에서 ‘유(有)’자를 붙인 뜻에 대해서는 예는 비록 공경(恭敬)과 사손(辭遜)에 근본을 두고 있지만, 그것이 표현되는 의식의 모습과 도수(度數)를 겸하여 말한 것이어서 특별히 ‘유’자를 둔 것이며, 만약 ‘유’자가 없으면 말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 밖의 글에서도 『맹자』의 해석을 통한 저자의 성리학적인 견해가 잘 나타나 있으며, 이는 조선 후기 성리학의 발전과 더불어 주목된다.

집필자
신동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