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도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개념
말을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말그림 · 마화.
이칭
이칭
말그림, 마화(馬畵)
내용 요약

마도는 말을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이다. 한국의 말 그림의 기원은 쌍영총의 「기마인물도」 같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찾을 수 있다. 고려 시대에는 말 그림이 많이 그려졌지만 전래된 것은 희귀하다. 조선 후기에 말 그림에 두각을 나타낸 인물은 문인화가 윤두서이다. 그는 말만을 주인공으로 한 본격적인 말 그림을 그린 유일한 말 전문화가이다. 조선 말기의 화가 장승업도 말 그림 수작을 다수 남겼다. 말 특유의 동적이며 활기찬 모습, 다채로운 형태를 잘 구현하였다. 현대에는 김기창이 역동적으로 질주하는 말 그림으로 마도의 맥을 이었다.

목차
정의
말을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말그림 · 마화.
연원

말 그림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라스코 동굴 주1로 기원이 올라갈 정도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말은 라스코 동굴 벽화에 그려진 동물 가운데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구석기 벽화 속의 말 그림은 수렵의 대상을 표현한 것으로 성공적인 사냥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중국의 경우 넓은 영토와 긴 역사 탓에 우리나라보다 훨씬 많은 말 그림이 전해진다. 한대(漢代)의 벽화에서부터 등장하는 말 그림은 당대(唐代)에 전성기를 맞아 조패(曹覇), 한간(韓幹)과 같은 저명한 말 전문 화가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민족 왕조였던 요(遼), 금(金), 원(元), 청(淸)의 경우 유목민족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자연스레 많은 말 그림이 제작되었던 시기였고, 한족(漢族) 왕조인 명대(明代)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그려졌다.

북송대(北宋代)의 주2과 원대의 주3, 청대의 낭세녕(郎世寧), 근대의 서비홍(徐悲鴻) 등은 동아시아 말 그림의 수준을 끌어올린 대표적 화가들이다. 이러한 중국의 말 그림은 한국 말 그림의 직간접적 자양분이 되었다.

내용

한국의 말 그림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안악3호분이나 덕흥리 고분 등에는 묘주(墓主)의 권력과 위세를 드러내주는 군마(軍馬)들이 다수 등장한다. 쌍영총의 「기마인물도」 잔편은 정확한 말의 외모와 동작의 표현에서 묘사력의 발전을 잘 보여준다.

황남대총 출토 칠기 잔편의 「우마도(牛馬圖)」와 천마총 출토 「천마도(天馬圖)」는 실루엣 풍의 단순한 묘사임에도 불구하고 말의 모습과 동세가 효과적으로 표현되어 신라의 말 그림 수준이 고구려 못지않았음을 알려준다.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에는 기록을 통해 많은 말 그림들이 그려졌음을 알 수 있지만, 전래된 말 그림이 희귀하여 그 실상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조선 중기의 이경윤(李慶胤), 이영윤(李英胤), 이징(李澄), 김식(金埴) 등의 문인화가들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그림들과, 필자미상의 작품들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조선 후기 말 그림을 가장 즐겨 그려 두각을 나타낸 인물은 문인화가 윤두서(尹斗緖)이다. 그는 「유하백마도(柳下白馬圖)」(해남윤씨종가 소장)에서 보이듯 말만을 주인공으로 한 본격적인 말 그림을 그렸다는 점에서 유일한 말 전문화가라고 할 만하다. 윤두서는 실제 말에 대한 사생을 통해 자기세계를 완성하였다. 윤두서에 의해 그림 소재로 부각된 말은 윤덕희(尹德熙), 조영석(趙榮祏), 심사정(沈師正)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조선 말기의 장승업은 말 그림에 있어서도 수작을 다수 남겼다. 장승업은 한, 두 마리 말만을 조촐하게 등장시켰던 면모를 일신시켜 인물과 말이 다수 등장하는 「군마도」와 같은 그림을 만들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인물, 말들의 화면에서의 연결이 자연스럽고, 동작도 어색하지 않게 잘 표현되었다.

그는 윤두서와 비교할 수 있는 유일한 말 그림 화가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림의 시적 분위기와 서정성은 윤두서에 비해 부족하지만 말 특유의 동적이며 활기찬 모습, 다채로운 형태를 구현한 시각적 효과는 보다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준다. 장승업의 영향은 안중식(安中植), 조석진(趙錫晉), 김규진(金圭鎭)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대에는 김기창(金基昶)이 역동적으로 질주하는 말 그림을 그림으로써 맥을 이어갔다.

참고문헌

『한국의 말 그림』(이원복,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5)
『고대 동아시아의 말 그림』(홍선표,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1)
「중국의 말 그림」(한정희, 『한국과 중국의 회화』, 학고재, 1999)
주석
주1

라스코 동굴에 있는 벽화. 사냥의 성공과 풍요를 기원하는 뜻으로 빨강, 검정, 노랑 따위의 색으로 말, 사슴, 들소 따위를 그렸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와 함께 가장 유명한 구석기 시대 벽화이다. 우리말샘

주2

중국 북송의 문인ㆍ화가(?~1106). 자는 백시(伯時). 호는 용면산인(龍眠山人). 벼슬은 후성 산정관(後省刪定官)을 지냈다. 시와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고, 백묘화를 부흥시켰으며 기자(奇字)를 잘 알아 고증(考證)에 능하였다. 그의 진적(眞跡)으로는 <오마도권(五馬圖卷)>이 남아 있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원나라의 화가ㆍ서예가ㆍ문인(1254~1322). 자는 자앙(子昂). 호는 집현(集賢)ㆍ송설도인(松雪道人). 서화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나라의 사대가(四大家)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저서에 ≪상서주(尙書注)≫, ≪송설재집(松雪齋集)≫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