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활자본. 1855년(철종 6)장영전(張永銓)과 후손 세호(世浩)가 편집하고, 1857년 후손 기룡(起龍) 등이 다시 유고를 모아 합책한 것을 1914년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송병화(宋炳華)·송술헌(宋述憲)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준(濬)·우풍(禹豐)·기요(起堯)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4수, 소(疏) 1편, 잡저 5편, 제문 1편 등이 실려 있다. 권2는 부록으로 행략(行略)·가장(家狀)·묘갈문·묘지명·만사·제문·옥계별묘봉안문(玉溪別廟奉安文)·춘추향축문(春秋享祝文)·구장사봉안고유문(龜藏祠奉安告由文)·화동유허비명(花洞遺墟碑銘)·입비시고유문(立碑時告由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도 역시 부록으로 경차자지운(敬次自誌韻)·경차취한당벽상운(敬次就閒堂壁上韻)·호희당중수기(皡熙堂重修記)·취한당기(就閒堂記)·부옥계서원왕복통장(附玉溪書院往復通狀)·상오촌송선생서(上鰲村宋先生書)·상매산홍선생서(上梅山洪先生書)·상옥동김선생서(上玉洞金先生書)·정춘조장(呈春曹狀)·태학회통(太學回通)·소청통문(疏請通文)·화양서원회통(華陽書院回通)·화원통문(華院通文)·임영향교회통(臨瀛鄕校回通)·우정순영장(又呈巡營狀)·서옥계서원별묘사적후(書玉溪書院別廟事蹟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봉전우암송선생(奉餞尤庵宋先生)」은 1689년(숙종 15) 세자가 책봉되자 이를 시기상조라 하여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가 제주로 귀양가는 송시열(宋時烈)을 전송하며 지은 것이다. 「사김삼연(謝金三淵)」은 김창흡(金昌翕)의 칭찬에 대한 사례의 글이다.
소의 「청참이이첨소(請斬李爾瞻疏)」는 이이첨을 탄핵하는 내용으로, 저자의 지조와 기개가 잘 나타나 있다. 잡저에 수록된 글들은 도학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