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의사 ()

만의사
만의사
불교
유적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무봉산(舞鳳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이칭
이칭
만의사(萬義寺)
목차
정의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무봉산(舞鳳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원래는 만의사(萬義寺)라고 하였다. 1284년(충렬왕 10)을 전후하여 주지 정길(貞吉)과 현묵(玄默) 등이 중창하였다.

이 절이 천태종(天台宗) 사찰로서 면모를 갖춘 것은 천태종 진구사(珍丘寺)의 주지였던 혼기(混其)가 1313년(충선왕 5)에 이 절로 옮겨와서 크게 중창하고 법화도량(法華道場)을 연 뒤부터이다.

혼기의 뒤를 이어 의선(義璇)이 이곳의 주지를 잇게 됨에 따라 천태종의 중심사찰로서 기반을 굳혔으며, 충혜왕 무렵에는 묘혜(妙慧)가 주지로 있으면서 요원(了圓)의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간행 비용을 전적으로 부담하기도 하였다.

고려 말기의 우왕 때에는 이 절의 주지를 천태종과 조계종에서 교대로 맡게 되었다. 충선왕 이래로 축적되어온 사전(寺田)과 사사노비(寺社奴婢)를 둘러싸고 현실적인 경제적 이익을 차지하려는 쟁탈이 노골화되었고, 조계종측에서 이를 차지하자 천태종측에서는 법에 호소하기까지 하였다. 이 사건이 사회의 지탄을 받게 되자 절의 노비 약간만을 남겨 놓고 나머지는 모두 수원부(水原府)에 귀속시켰으며, 소유권은 다시 천태종측에 돌아오게 되었다.

1390년(공양왕 2)에는 위화도 회군에 공이 컸던 신조(神照)가 이 절의 주지가 됨에 따라 나라에서 사전 70결(結)을 급여하였고, 노비도 대대로 주지가 소유하게 공인함으로써 다시 한 번 사회적 보장과 경제적 기반을 굳힐 수 있었다. 이에 신조는 1391년 정월에 7일 동안 소재도량(消災道場)을 개설하였고, 1392년 2월 천태종의 덕 높은 승려 330인을 초청하여 21일 동안 화엄법회(華嚴法會)를 열어 임금의 장수와 국가의 복을 기원하였다.

조선시대의 뚜렷한 역사는 전하지 않으나 사명당 유정(惟政)의 제자 선화(禪華)가 오랫동안 주석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 뒤 우암 송시열(宋時烈) 묘의 이장지로 선정됨에 따라 1669년(현종 10) 현 위치로 옮긴 뒤 절 이름을 만의사라 하였다.

1796년(정조 20) 수원성곽이 중수되자 팔달문에 만의사의 종을 옮겨 달았다. 이 종은 1080년(문종 34)에 주조된 뒤 1687년(숙종 13)에 만의사 주지 성운이 무게 700근으로 주1)한 것이다. 현재 정면 3칸의 대웅전과 산신각 · 요사채 등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전통사찰총서』 3(사찰문화연구원, 1993)
『한국불교사연구』(안계현, 동화출판공사, 1982)
『한국사찰전서』(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주석
주1

활자나 주물 따위를 고쳐 다시 주조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