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망이산성 ( )

망이산성
망이산성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馬耳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내성과 외성의 2중 구조로 축조된 성곽. 산성. 시도기념물.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馬耳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내성과 외성의 2중 구조로 축조된 성곽. 산성. 시도기념물.
개설

망이산성은 내성, 외성으로 구성된 2중 구조이다. 내성은 망이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테를 두르듯 축조된 토성이다. 외성은 내성을 감싸듯 석축으로 축조되었으며 정상부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2개의 능선 및 그 가운데 계곡을 가로막아서 성벽을 축조하였다. 외성의 총 길이는 2080m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 조선시대 지리서에는 망이산에 봉수대가 있었다는 기록이 보이고 있지만 성에 대한 기록은 없다. 1978년 산성이 발견되어 처음에는 고구려의 산성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수차에 걸친 발굴조사결과 고구려가 축조하거나 활용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역사적 변천

내성은 토성벽으로 백제가 축조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대부분 유실되어 정확한 규모와 성격을 파악하기 어렵다. 외성은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출토된 유물로 보아 신라가 석축성을 처음 축조한 것은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경으로 추정되며 이후 고려 초인 963-983년 사이에 수차에 걸쳐서 크게 증축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준풍4년’(고려 광종 14, 963년)명, ‘흥국’(976~983)명 등 명문기와를 비롯한 다수의 고려 초기의 명문기와를 통해서 추론이 가능하다.

내용

내성은 대체로 해발 약 450m지점의 둘레를 따라 축조되었다. 잔존 길이는 약 250m이며 높이는 5.2m이다. 토성의 북쪽부분에 문지로 추정되는 함몰부가 있다. 성벽은 점토를 차례로 다져 올려서 판축하는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외성은 석축으로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정지한 후 다듬은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여 외벽을 축조하였다. 내벽과 뒤채움은 다듬지 않은 석재로 축조하고 내벽 뒤에는 점토를 다져서 성벽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였다. 기반암이 단단한 곳은 암반을 계단식으로 삭토한 후 암반에 의지하여 외벽을 축조하였다. 잔존 높이는 3m이나 원래 높이는 6m 이상이다.

문지는 2곳이 발굴되었다. 남문지는 잡석을 깔아 바닥을 구성하였으며 바닥석 위로 양쪽에 기단석재를 놓아 문을 구성하였다. 규모는 폭 4m, 길이 5.5m이다. 바닥에는 배수구(너비 30㎝, 깊이 20㎝)를 직선으로 냈고 현재 남아 있는 배수구의 길이는 4.5m이다. 서문지는 길이 5.6m, 너비 4.8m의 규모로 확인되었다. 문지 안쪽으로는 문으로 침입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한 내옹성이 시설되었다. 서문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2차례의 개축이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서문지 밖으로 4.7m 지점에서 또 다른 석축을 쌓아 문지로 통행하기 편하도록 하였다.

이밖에 내부 건물지 조사에서는 제사나 의례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팔각건물지도 출토되었다.

특징

망이산성은 다른 산성과 다르게 산성과 봉수대가 같이 존재하고 있어 학술적으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토성과 석성이 모두 있고 석성에서는 삼국의 축조공법을 혼합한 통일신라시대의 축조법이 보이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특히 고려시대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당시 지방통치제도의 정비와 관련하여 귀중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3차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초로 추정되는 대형의 팔각형 건물지와 큰 기둥을 세웠던 기둥구멍이 출토되었다. 제사나 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나 아직 유사한 출토 사례가 없다.

의의와 평가

3차 발굴조사에서 산성을 정밀측량한 결과 안성시에 속한 부분은 극히 일부이고 발굴조사된 지역 대부분은 음성군에 속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나머지 부분은 이천시 관할에 속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와 충청북도에서 각각 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음성 망이산성 Ⅱ』(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안성 망이산성 3차발굴보고서』(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6)
『안성 망이산성 2차발굴조사보고서』(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9)
『망이산성 발굴보고서(1)』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6)
『망이산성 학술조사보고서』(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2)
집필자
서영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