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상기 ()

목차
관련 정보
반상기
반상기
식생활
물품
반상차림에 쓰는 격식화된 식기.
목차
정의
반상차림에 쓰는 격식화된 식기.
내용

반상이 밥·국·찌개·김치·간장·초간장·초고추장·반찬으로 구성되는 상차림이고 숭늉으로 식사의 끝을 맺으므로 반상기도 반상규범에 맞추어 일습이 갖추어져 있다.

현존하는 반상기의 일습은 조선시대 때 갖추어진 것이지만 밥과 반찬으로 구성된 일상식의 양식이 형성된 시기는 늦어도 삼국시대 후기로 추정되므로, 삼국시대의 유물이나 고려시대의 유물에 있는 완·발·합 등이 조선시대의 주발·국대접으로 그 모양이 이어져 오면서 완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상기는 밥그릇·국그릇·숭늉 대접과 둥근 쟁반·김치보 각 1개, 조치보 1, 2개, 종지 1∼3개, 반찬 그릇 3∼12개로 일습을 이룬다. ① 밥그릇 : 주발과 바리가 있다. 주발은 남자용으로서 몸체가 직선형이며 저변이 약간 좁은 모양이다. 바리는 여자용으로서 구경보다 복부와 저변부가 둥근 곡선형이다. 모두 뚜껑이 있다.

② 국 대접·숭늉 대접 : 남자용은 직선에 가깝고 여자용은 곡선형이다. 뚜껑이 없다. ③ 김치보 : 반찬그릇과 같은 모양이나 용량이 반찬 그릇의 2배 정도이다. 뚜껑이 있다. ④ 조치보 : 김치 보시기와 같은 모양이나 더 크다. 뚜껑이 있다. ⑤ 종지 : 반찬 그릇과 같은 모양이나 용량이 적다. 뚜껑이 있다.

⑥ 반찬 그릇 : 오목한 형태이며 뚜껑이 있다. 반상기의 큰 특징은 대접을 제외하고는 모두 뚜껑이 있는 점인데, 이는 우리의 음식이 따끈할 때 먹어야 좋기 때문에 음식이 식지 않도록 하려는 배려에서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韓國民俗大觀)』2(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서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