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례방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호조에 두었던 속사(屬司).
제도/관청
설치 시기
조선 후기
상급 기관
호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별례방(別例房)은 조선 후기, 호조에 두었던 속사(屬司)이다. 임진왜란 이후 국가 경비를 담당한 호조의 사무가 증가하면서 3개의 속사를 보다 세분화하여 업무를 분장하였다. 이때 경비사의 업무 가운데 국가 경비 지급과 일본인들에게 지급하는 물품을 관장하는 업무를 전담한 것이 별례방이다.

정의
조선 후기, 호조에 두었던 속사(屬司).
설치 목적

조선 후기, 호조의 속사 가운데 하나이다. 원래는 호조의 속사인 경비사였다. 조선 건국 초기, 호조에는 판적사(版籍司), 회계사(會計司)와 함께 경비사로 이루어진 3개 속사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호조의 업무가 증가하면서 업무가 늘어나 방(房)이나 색(色)과 같은 호조의 속사가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호조 3개의 속사에 14개의 방을 두어 업무를 분장하였다. 경비사에는 전례방(前例房), 별례방 등 9개의 방이 속하였다. 별례방은 경비사의 업무 가운데 국용의 경비 지급 일부와 왜인들에게 지급하는 양료(糧料)와 예단(禮單)을 전적으로 맡았다.

기능과 역할

별례방은 중앙 각 관서에서 사용하는 각종 물자의 조달과 지공(支供), 왜인(倭人)에게 지급하는 식량과 여러 물품을 관장하였다. 이는 본래 경비사에서 전담하는 역할의 일부분이다. 국가 물자 조달의 구체적인 용처를 살펴보면, 왕실의 관례나 혼례, 책봉과 같은 길연(吉宴)의 각종 물품을 책정하거나 대보단, 문묘 등 주요 제수처(祭需處)의 봉심하는 역할도 관장하였다.

또한 국가에서 시상하는 상전(賞典)의 물품을 준비하고 왕자군 이하의 각 공신이나 당상관의 상례를 당하면 국가적 부의(賻儀)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또한 왜인들에게 지급할 양료와 예단을 준비하기도 하였다. 이 외의 국가 경비의 지급은 전례방 등 경비사에 속하였던 9개 방에서 각기 전담하였다.

변천사항

별례방은 조선 후기, 호조의 속사 가운데 하나인 경비사의 업무 중에서 일부를 전담하면서 독립된 기구이다. 설치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조선 후기에는 경비사에서 분화되어 독립된 것으로 보인다.

1664년(현종 5)에 호조의 별례방 낭청이 별영과 별고 군병의 요미를 담당한다는 기록이 있고, 1724년(경조 4)에는 호조의 별례방을 판적사와 함께 요직의 하나로 지목하며 그 업무를 담당한 사람을 엄선할 것을 당부하기도 하였다. 법제적으로는 정조 대 『대전통편(大典通編)』의 처음 규정에서 확인된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속대전(續大典)』
『육전조례(六典條例)』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