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사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에 두었던 종5품의 관직.
제도/관직
소속
중추부|충훈부|의빈부|충익부|의금부|개성부|오위도총부 등
내용 요약

도사(都事)는 조선시대에 중앙과 지방에 두었던 종5품의 관직이다.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관직으로 조선시대에는 중앙의 부(府) 아문에, 지방에는 각 도에 설치되어 행정 실무를 담당하였다. 1894년(고종 31)에 관제를 개편하면서 혁파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에 두었던 종5품의 관직.
설치 목적

고려시대부터 중앙 핵심 관서에 배치된 실무 관직이었다.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고려의 제도를 따라 그대로 설치하였다. 이후 관서와 관직 등이 개편됨에 따라 중앙에는 중추부(中樞府), 충훈부(忠勳府), 의빈부(儀賓府), 충익부(忠翊府), 의금부(義禁府), 개성부(開城府),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등 부(府) 아문에, 지방에는 8도의 관찰사(觀察使) 예하에 설치되어 종5품의 위상을 지닌 관직으로 정립되었다.

임무와 직능

각 소관 관서의 업무에 따라 도사의 역할은 다양하였다. 도사는 기본적으로 관서의 중급 실무 관리자로서 역할하였다. 대부분 종4품의 경력(經歷)과 함께 관서에 배정되었는데, 각 관서 장관의 지휘 아래 소관 업무를 처리하였다.

중앙에서는 주로 예우아문에 설치되는 일이 많았고 그런 경우 부마, 공신 등의 예우를 위한 행정 사무를 담당하였다. 의금부 도사는 주1에 관련된 사안을 담당하여 친국과 관련된 사안을 담당하였다. 오위도총부는 군사 기구인 오위(五衛)의 사무를 주관하였다.

지방에서는 관찰사 예하에서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다. 관찰사가 주2 시에는 직무를 대행하기도 하였다. 특히 수령을 규찰하는 업무를 맡았다. 경기도사와 경상도사는 문과 출신을 주로 배정하였는데 해당 지역 수령이 문신 출신이 많았기 때문이다.

변천사항

도사는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관직이다. 1392년(태조 1)에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문하부삼사, 도평의사사 등 핵심적인 관서에 설치되어 행정 실무를 전담하였다. 1466년(세조 12)에 대대적인 관제 개편이 이루어져 각 관서마다 도사의 지위에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이때 개편한 내용이 『경국대전』에 수록되어 중앙에는 주로 부(府) 아문에서, 지방에는 각 도(道)에서 종5품의 위상으로 규정되었다.

조선 후기에 몇 가지 변화가 있었는데 『 속대전(續大典)』을 기준으로, 의금부 도사는 종5품에서 종6품과 종9품의 도사로 이원화되어 설치되었고, 개성부 도사는 혁파되었다. 『 대전통편(大典通編)』을 기준으로, 의금부 종9품 도사는 종8품으로 승격하였다. 1894년(고종 31)에 갑오개혁 당시 근대 관제로 개혁되면서 모두 주사(主事)로 통합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충희, 『조선초기 정치제도와 정치』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논문

한충희, 「정치구조의 정비와 정치기구」(『한국사』 23, 국사편찬위원회, 1994)
장병인, 「조선초기의 관찰사」(『한국사론』 4, 서울대학교, 1978)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의금부에 딸려 관인 및 양반 계급의 범죄자를 가두어 두던 감옥.    우리말샘

주2

특별한 사정이나 사고가 있음.    우리말샘

집필자
나영훈(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