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이형상 수고본 중 탐라순력도
이형상 수고본 중 탐라순력도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조선 후기의 문신, 이형상이 남긴 저술 중 역학(易學), 속악(俗樂) · 가곡, 강화(江華) 및 수어책(守禦策), 제주도 관련 저술, 국책주의록(國策奏議錄), 대마도(對馬島) · 국속문자(國俗文字) 등과 관련된 저술을 모은 문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형상 수고본(李衡祥 手稿本)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필사본/고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9년 02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영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형상이 남긴 저술 중 역학(易學), 속악(俗樂) · 가곡, 강화(江華) 및 수어책(守禦策), 제주도 관련 저술, 국책주의록(國策奏議錄), 대마도(對馬島) · 국속문자(國俗文字) 등과 관련된 저술을 모은 문집.
내용

10종 15책. 필사본. 197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저자는 25세 되던 1677년(숙종 3)에 사마시(司馬試), 1680년에 문과에 급제한 뒤 내직에서 4년, 외직에서 8년 모두 12년간 관직에 있었던 이외에는 81세로 일기를 마칠 때까지 학문에만 전념하여 60여종 200여책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유고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일괄 지정한 것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역학(易學) 관계 저술인 『선후천(先後天)』, 신라 · 고려 및 조선 초기의 속악(俗樂)을 모아놓은 『악학편고(樂學便考)』, 고려 및 조선 초기의 가곡을 수집해놓은 『악학습령(樂學拾零)』, 강화(江華) 및 수어책(守禦策) 관계 저술인 『강도지(江都誌)』, 제주도 관계 저술인 『남환박물지 南宦博物誌』와 『탐라순력도 耽羅巡歷圖』, 국책주의록(國策奏議錄)인 『둔서록(遯筮錄)』, 유목별(類目別) 색인서인 『부부유목(覆瓿類目)』, 잡집류(雜集類)인 『정안여분(靜安餘噴)』, 대마도(對馬島) · 국속문자(國俗文字) 등에 관한 저술인 『동이산략(東耳刪略)』 등이다.

그는 성리학뿐 아니라 예악(禮樂) · 역사 · 전기(傳記) · 지리 · 시문 등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실학(實學)에도 선도적 구실을 하였다. 이 유고는 비록 조선 후기에 저술된 것이지만 국학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이다.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의 이수창(李秀昌)이 관리하고 있다.

집필자
최순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