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1995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보덕사는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이 부친 남연군(南延君)의 묘를 쓰기 위하여 이곳에서 1㎞ 떨어진 가야사(伽倻寺)를 폐찰하고 그 대신 창건하였다고 하는데, 무덤을 쓴 후 소원이 성취되어 은덕에 보답하기 위하여 보덕사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조선 말기에 창건된 사찰이면서 남아 있는 석등은 고려 때 양식을 보여 주고 있는데, 가야사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 극락전은 구릉지에 정남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경내에는 극락전을 비롯하여 선원 · 요사채가 마당을 가운데 두고 ‘口’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극락전의 양 측면에는 커다란 풍판(風板 : 비바람을 막기 위하여 박공널 바로 안쪽에 널판장처럼 댄 널)을 달아 두었다. 실내에는 마루를 깔고 중심부에서 뒤로 약간 물러나 불단을 설치하였다.
잡석으로 축대를 만들어 대지를 정리한 다음, 잘 가공된 장대석으로 기단을 만들었다. 기둥은 모두 단면이 둥근 두리기둥을 썼다. 기둥 위에 짜올린 공포는 무출목(無出目) 2익공식인데, 작은 건물임에도 익공은 매우 화려한 모습이다.
기둥 바로 위에 걸친 창방(昌榜)은 측면으로 길게 풍판까지 닿게 빼내고, 창방 뺄목 밑으로는 화려한 당초문양을 그린 커다란 뺄목받침을 달아 두었다.
각 칸의 창방 위에는 2개씩의 복화반을 끼워 두었는데 화반(花盤)도 화려한 화초문양이 그려져 있다. 화반 위에는 주심도리와 장여를 이어주는 운공(雲工)이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단청은 화려한 선단청을 하였다.
실내의 종보 아랫부분에 우물천장을 설치하고 바닥은 우물마루로 깔았다. 규모가 작은 건물이면서 사용한 부재가 견실하고, 또한 건물의 세부 기법이 작은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화려한 것이어서 특별한 배려 아래 지어진 건물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