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사 지장보살도 (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작품
문화재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소재 보문사 묘승전(妙勝殿)에 있는 조선 후기의 지장보살도.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소재 보문사 묘승전(妙勝殿)에 있는 조선 후기의 지장보살도.
내용

186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43㎝, 가로 181㎝. 1996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사후세계의 교주(敎主)인 지장보살과 도명존자(道明尊者), 무독귀왕(無毒鬼王), 시왕과 판관, 사자, 옥졸 등 명부권속을 표현한 지장시왕도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은 화면의 중앙, 커다란 반원형의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 안에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 등 지장보살삼존을 배치하였다. 그 좌우로 시왕 그리고 지장삼존의 아래쪽에 사자(使者)와 판관(判官) 등을 배치한 특이한 구도를 보여 준다.

본존 지장보살은 투명한 흑색 두건을 쓰고 오른손에는 보주, 왼손에는 석장(錫杖 : 중이 짚고 다니는 지팡이)을 들고 수미단 위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있다. 좌우로는 무독귀왕과 도명존자가 합장을 한 자세로 지장보살을 향하여 서 있다.

큰 광배 좌우로는 시왕이 홀을 들거나 수염을 쓰다듬는 자세로 본존을 향하여 시립하고 있다. 시왕의 뒤에는 좌우에 각각 8곡(曲) 병풍이 들러져 있으며 시왕들은 모두 호피(虎皮)가 둘린 의자에 앉아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시왕의 옆에는 천녀 2인이 공양하는 자세로 서 있다.

한편 화면 아래쪽 중앙에는 판관들이 망자(亡者)의 죄업(罪業)이 적혀 있는 명부를 들고 지장보살에게 무엇인가를 보고하는 듯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그중 보살의 왼쪽 아래 몸을 굽히고 명부를 받쳐 든 두 손을 앞으로 내밀고 있는 판관과 오른쪽의 몸을 굽힌 판관의 모습은 정적인 화면에 움직임을 주면서 순간적인 정지 화면을 보는 듯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들 옆으로는 판관과 동자, 천녀, 지옥장군, 우두(牛頭)와 마두(馬頭) 옥졸 등이 중앙을 향해 시립하고 있다.

채색은 붉은색이 주조를 이루며 녹색, 금색, 청색, 흑색, 황색 등이 사용되었다. 특히 큰 원광 안을 금니로 칠하여 한층 화려한 느낌을 준다.

이처럼 광배를 금색으로 칠하는 수법은 19세기 후반의 서울, 경기 지역 불화에 유행하였던 것으로 인근의 화계사, 봉은사, 수국사 등의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불화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그리고 이 불화의 인물 표현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지옥장군과 판관 일부의 얼굴에 나타난 음영법이다. 이러한 기법 역시 19세기 이후 서울, 경기 지역 불화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화기에 의하면 이 작품은 1867년 보문사의 중단탱(中壇幀)으로 조성되었다. 그리고 19세기 경기 지역의 유명한 화승이었던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 스님이 금어 비구(金魚比丘: 불화를 그리는 승려를 일컫는 말)로 참여하였다. 같은 사찰의 대웅전에 봉안된 신중도 및 영산회상도와 같은 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서울 傳統寺刹의 佛畵」(김정희, 『서울의 사찰불화』Ⅰ, 서울역사박물관, 2007)
「19世紀 地藏菩薩畵의 硏究」(김정희, 『불교미술』12, 동국대학교 박물관, 199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