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인소의궤 ()

목차
관련 정보
보인소의궤
보인소의궤
조선시대사
문헌
1876년(고종 13) 궁중의 보와 인을 개주 · 개조 · 수보하고 후세에 참고하도록 그 일의 경과나 경비 등을 기록한 의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76년(고종 13) 궁중의 보와 인을 개주 · 개조 · 수보하고 후세에 참고하도록 그 일의 경과나 경비 등을 기록한 의궤.
내용

1책. 필사본.

목록은 시일(時日)·좌목(座目)·전교(傳敎)·재용(財用)·감결(甘結)·상전(賞典)·품목(稟目)·이문(移文)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내용에서는 상전과 품목 사이에 도설(圖說)과 봉과식(封裹式)이 있다.

의궤의 기록은 1876년 11월 8일부터 1887년 1월까지이다. 전교에는 1876년 11월 8일에, 궁중의 보와 인이 닳았으므로 무위소(武衛所)와 호조가 그 개주·개조·수보를 거행하라는 왕명이 실려 있다.

도설과 함께 실린 보인의 종류는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대조선국주상지보(大朝鮮國主上之寶)·조선왕보(朝鮮王寶)·위정이덕(爲政以德)·소신지보(昭信之寶)·시명지보(施命之寶)·유서지보(諭書之寶)·과거지보(科擧之寶)·선사지기(宣賜之記)·무위소·왕세자인(王世子印) 등이다.

그리고 그 각각의 것에 대해서는 보·인의 외형(外形) 및 자형(字形) 그리고 보통(寶筒)·보록(寶盝)·인통(印筒)·인록(印盝)·호갑(護匣) 등이 채색도로 그려져 있다. 동시에 각각의 보·인 및 그에 딸린 부속 물건의 모양·규모·재료 등에 대한 해설이 실려 있다. 품목과 이문은 일에 소용된 물품에 관한 재정 관계 사항을 적은 것이다.

현존하는 보인의궤로는 1687년(숙종 13)에 행한 인조장렬후(仁祖莊烈后)의 책보(冊寶) 개수(改修)에 대한 의궤인 『책보수개도감의궤(冊寶修改都監儀軌)』, 1705년에 종묘 및 영녕전(永寧殿)의 보책(寶冊)과 보갑(寶匣)의 개조에 대한 의궤인 『금보개조도감의궤(金寶改造都監儀軌)』, 같은해에 행한 태조비 신의왕후(神懿王后)의 금보를 개조한 사실을 적은 동일 제명의 의궤 등이 있다.

이 밖에 1735년(영조 11)에 행한 효장세자빈(孝章世子嬪)조씨(趙氏)의 현빈궁옥인(賢嬪宮玉印)의 조성에 관해 적은 『옥인조성도감의궤(玉印造成都監儀軌)』 등이 있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홍순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