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지가 (봉지)

목차
구비문학
작품
제주도 지방에 전승되는 창민요(唱民謠).
목차
정의
제주도 지방에 전승되는 창민요(唱民謠).
내용

「봉지가」라 하는 것은 이 민요의 첫 절 첫마디에 “봉지가 진다”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며, 봉지란 봉오리의 방언이다. 육지의 옛 민요 가운데도 같은 이름의 민요가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사당패나 잡가(雜歌) 소리꾼들이 불러 널리 퍼짐으로써 오랜 세월 제주도에서 전승된 듯하다.

선율적 특징이 「산천초목」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산타령계 민요로 짐작된다. 그 사설에는 남녀 간의 애정이 대담하게 묘사된다. 3분박(三分拍) 보통 빠른 3박자(8분의 9박자) 세마치장단이 주가 되나 중간에 3박자 외에도 4박자 5박자가 끼어 있어 불규칙하다.

앞 뒷소리로 나뉘는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되어 있으며, 뒷소리는 “에헤리이히리”하고 긴 입타령으로 되어 있다. 선율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고 솔로 마쳐 경토리와 비슷하다.

4음보 2행이 1현을 이루면서 후렴을 사이에 두고 이어져 나가는 「봉지가」의 사설 일부를 표준어로 옮겨 보면, “들어간다 삼밭으로/너와나와 들어간다//굵은삼대 쓰러진다/가는삼대 쓰러진다”라는 대목이 드러날 만큼 애정묘사가 적나라하다.

이 「봉지가」의 전승자는 광복 전후만 하더라도 드물게나마 제주도 전역에 띄엄띄엄 흩어졌었으나, 오늘날에는 지난날 정의현(旌義縣)의 도읍지였던 성읍리(서귀포시 표선면)에만 몇 사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민요』(임동권·김영돈·이소라, 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도 북제주군·제주시·서귀포시·남제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1·1983)
『제주도민요연구』상(김영돈, 일조각, 1965)
집필자
김영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