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보 ()

조선시대사
문헌
19세기 후반 소북파에 속한 집안의 계보를 모아 수록한 당파보.
이칭
이칭
소북보(小北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세기 후반
내용 요약

『북보(北譜)』는 19세기 후반 소북파에 속한 집안의 계보를 모아 수록한 당파보이다. 소북파(小北派)는 같은 북인(北人)이면서도 광해군 때 대북파(大北派)의 비인륜적인 여러 정치 행태에 비판을 제기하고 저항하여 피해를 입거나 은거한 양심적인 인사들 및 그 후예들을 가리킨다. 28개의 성에 69집안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후 대북(大北)은 광해군 정권의 붕괴와 함께 당파로서 사라졌지만, 소북(小北)은 끝까지 명맥을 유지하였다.

정의
19세기 후반 소북파에 속한 집안의 계보를 모아 수록한 당파보.
저자 및 편자

소북파에 속한 인물로 추정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대북주1이 몰락한 상황에서 주2도 위축될 수밖에 없었던 만큼 소북은 소속된 씨족의 숫자가 당연히 여타의 당파보다는 적었고, 또 그만큼 당파보(堂派譜)의 분량도 적었다. 『북보』는 광해군(光海君) 정권과 함께 몰락한 대북은 빼고 소북 집안들의 계보를 모은 당파보이다.

당파보는 북인(北人), 남인(南人), 노론(老論), 소론(少論) 등 각 당파에 속한 집안과 집안별로 그 가계에 속한 인물을 수록한 책이다. 이러한 당파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세기 후반~19세기 초로 추정된다.

당파보는 양반 집안의 정통성 증빙과 과시 욕구, 혼인가 물색 및 인재 등용을 위한 참고 자료, 사랑방 이야깃거리, 당파 내의 결속, 유대의 유지 및 증대 등을 위해 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북인보(北人譜)는 『북보』, 남인보(南人譜)는 『남보(南譜)』, 노론보(老論譜)는 『잠영보(簪纓譜)』, 소론보(少論譜)는 『잠보(簪譜)』라는 명칭으로 존재하였다.

구성과 내용

『북보』는 1책본, 2책본, 3책본, 4책본 등 20여 종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로 간행되었다. 여기서는 그 한 예로 3책본[『조선당쟁관계자료집(朝鮮黨爭關係資料集)』 수록]을 살펴보면, 천(天) · 지(地) · 인(人)으로 주3를 설정하고, 각 책 앞에는 수록된 성씨와 성씨의 하위 분류에 해당하는 본관을 목차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제1책에는 이씨[전주 · 광주 · 연안 · 함평 · 전의 · 한산 · 성주 · 용인], 류씨[전주 · 문화 · 진주], 김씨[청풍 · 안산 · 경주] 등 3성(姓) 14가(家)가 수록되어 있다.

제2책에는 김씨[광산 · 언양], 박씨[밀양 · 고령 · 울산], 남씨[의령], 임씨[풍천], 엄씨[영월], 윤씨[파평 · 남원 · 함안 · 칠원], 정씨[해주 · 하동 · 동래 · 초계], 민씨[여흥] 등 8성 17가가 수록되었다.

제3책에는 홍씨[남양], 강씨[진주], 심씨[청송 · 풍산], 송씨[여산 · 은진 · 진천], 조씨[배천 · 양주], 최씨[전주 · 삭녕 · 강화 · 경주 · 화순 · 강릉], 신씨[고령], 허씨[양천], 노씨[풍천], 성씨[창녕], 황씨[창원], 경씨[청주], 권씨[안동], 구씨[능성], 채씨[평강], 오씨[보성], 신씨[거창], 배씨[성산] 등 18성 27가가 수록되었다.

각 장의 구성을 보면, 12줄의 주4을 그어 공간을 확보하고, 세로로 주5를 정리하였다. 다시 그 계보를 다음 세로 줄로 이어갈 경우, 천지인(天地人) 혹은 일이삼사(一二三四) 등의 기호를 아래와 윗줄에 적어 이어서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각 이름에 과거나 관력, 혼인 관계를 간략히 기재하고 있다. 같은 문중이라도 여러 당파로 갈려 있을 것이므로 후일 소북으로 판명된 집안으로부터 웃대로 거슬러 올라가 제작되었다.

의의 및 평가

조선 후기에는 조정에서 심각한 폐단이 될만큼 양반 사회 전체가 당파에 따라 분화된다. 이는 역설적으로 당시 양반들의 정치와 사회에서의 사유와 실천을 이해하기 위해서 어떤 사람이 어느 당파에 속하는지를 참고하는 것이 필수이다. 그리고 당대에 이와 같은 관념이 지배적이었다는 증거를 『북보』는 그 자체로 보여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이화 편, 『조선당쟁관계자료집(朝鮮黨爭關係資料集)』 17(여강출판사, 1987)

논문

김영진, 「조선 후기 당파보 연구(2) - 『남보』」( 『대동문화연구』 9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김영진, 「조선 후기 당파보 연구-『북보』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44,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1)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북인(北人) 가운데 홍여순(洪汝諄), 이산해(李山海) 등을 중심으로 한 분파. 1599년(선조 32)에 홍여순이 대사헌이 되려 하는 것을 남이공(南以恭)이 반대하면서 북인에서 갈려 나왔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북인(北人) 가운데 유영경(柳永慶), 남이공(南以恭), 김신국(金藎國) 등을 중심으로 한 분파. 선조 때 북인인 홍여순(洪如淳)이 대사헌이 되려고 할 때 같은 북인인 남이공이 반대하면서 홍여순 파와 갈라졌다.    우리말샘

주3

책의 차례를 나타내는 표시로 책명 아래에 서명보다 약간 작거나 같은 크기의 글씨로 쓴다.

주4

경계나 한계를 나타내는 선.    우리말샘

주5

혈연관계나 학풍, 사조(思潮) 따위가 계승되어 온 연속성

집필자
김혁(경희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