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숙태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제13대 선종의 제2왕비.
이칭
이칭
연화궁비(延和宮妃)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경원(慶源)[인주(仁州)]
정의
고려후기 제13대 선종의 제2왕비.
생애

사숙태후(思肅太后)의 본관은 경원(慶源)이며, 아버지는 이자연(李子淵)의 3남인 공부상서(工部尙書) 이석(李碩)이다. 문종 치세 후반기에 문종의 차남인 국원공(國原公)과 혼인하였다. 국원공이 순종의 급사(急死)로 왕위에 오르니 그녀는 왕비로 책봉되고 연화궁비(延和宮妃)로 불리었다. 1084년(선종 1) 6월에 아들(헌종)을 낳았으며, 이 외 두 명의 딸이 더 있다. 첫째 딸은 일찍 사망했으며, 둘째 딸은 수안택주(遂安宅主)인데, 맹인으로 태어나 혼인하지 않았으며 1128년(인종 6)에 사망하였다. 1094년에 헌종은 11세의 나이로 즉위하였고, 그해 6월 1일에 그녀를 왕태후(王太后)로 책봉하였다. 그녀가 거처하던 궁전을 중화(中和)로 부르고, 부를 두어 영녕(永寧)이라 하였다. 헌종은 재위한 지 1년 5개월 만에 숙부인 숙종에게 선위하였다. 그녀는 헌종과 함께 남편이 국원공 시절에 거처했던 흥성궁(興盛宮)으로 돌아가 일생을 마쳤다. 헌종 사후 중화전과 영녕부는 폐지되었다.

활동사항

국원공의 아내였던 시기의 사숙태후의 활동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예종대에 선종묘(宣宗廟)에 첫째 후비인 정신현비(貞信賢妃)를 합사하는 문제가 거론되었을 때 간관이 “정신현비는 국원공의 비(妃)로 있은 기간이 오래지 않았고, 태후는 국원공의 비빈으로서 왕비가 될 때까지 내조한 공이 많습니다. 그리고 아들인 헌종이 왕위를 계승하고 이후 퇴거할 때까지 그 덕을 잃은 것이 없으니 태후를 합사하는 것이 옳습니다.”라고 하는 것에서 사숙태후가 문원공의 배우자로서 일정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들 헌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기 때문에 그녀가 3년간 섭정하였다. 이를 『고려사』에는 ‘임조칭제(臨朝稱制)’라고 언급하고 있다. ‘임조칭제’는 유약한 황제를 대신하여 태후가 왕권을 행사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뜻에서 본다면 사숙태후는 섭정할 때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를 사숙태후라고 하였다. 1107년(예종 2) 사숙태후를 선종묘에 배향하였다. 1140년(인종 18) 4월에는 정화(貞和)라는 시호를, 1253년(고종 40) 10월에는 광숙(匡肅)이라는 시호를 추가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의 후비(后妃)』(정용숙, 민음사 1992)
「고려 선종비 사숙태후와 인종비 공예태후」(이정란, 『한국인물사연구』 16, 한국인물사연구소, 2011)
집필자
김현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