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제13대 왕.
이칭
계천(繼天)
시호
사효(思孝)
개명
왕운(王運)
초명
왕기(王祈), 왕증(王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49년(문종 3)
사망 연도
1094년(선종 11)
본관
개성(開城)
출생지
개경(開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선종은 고려 전기 제1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083~1094년. 문종의 아들로 형인 순종이 즉위 두 달 만에 죽자 즉위하였다. 승과를 설치하고 불교를 장려하였으며, 아우 의천이 송에서 불법을 공부하고 돌아와 불경과 경서 1천 권을 바치고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세울 것을 건의하자, 송·요·일본 등지에서 사들인 서적 4천여 권을 모두 간행하게 했다. 예부의 건의로 국학에 공자의 제자 72현의 상을 그려 벽에 붙이기도 하였다. 경사에 밝고 제술에 뛰어났으나 놀이에 절도가 없고 사탑 건립에 백성들을 강제 동원하여 원망이 많았다고 한다.

정의
고려 전기, 제13대 왕.
가계 및 인적사항

재위 1083년~1094년. 이름은 왕운(王運), 초명은 왕증(王蒸) 또는 왕기(王祈), 자(字)는 계천(繼天). 아버지는 문종(文宗)이고 어머니는 인예순덕태후(仁睿順德太后) 이씨(李氏), 비(妃)는 이석(李碩)의 딸 사숙태후(思肅太后)이다.

주요 활동

어려서부터 경사(經史)에 밝고 제술(製述)에 뛰어나 문종(文宗) 때 국원후(國原侯)에 봉해졌으며, 상서령(尙書令)에 제수된 뒤, 순종(順宗) 때 수태사(守太師) 중서령(中書令)이 되었다. 형인 순종(順宗)이 즉위한 지 두 달 만에 죽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1084년(선종 1)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불교를 장려하였으며, 변경을 지키는 사졸들에게 저고리와 바지를 내려주었다. 1085년(선종 2) 아우 의천(義天)이 송나라에 들어가 2년 동안 불법을 공부하고 돌아오자 환영 의식을 성대히 하였다. 의천은 불경(佛經)과 경서(經書) 1천 권을 바쳤고, 흥왕사(興王寺)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울 것을 건의하였다. 송·요·일본 등지에서 서적을 사들여 4천여 권에 달했는데 모두 간행하게 하였다. 1087년(선종 4) 현종 때부터 시작된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조판 사업이 일단락되었다.

1089년(선종 6) 회경전(會慶殿)에 13층 금탑(金塔)을 세우고, 문종의 둘째 비인 주2의 청에 따라 천태종(天台宗)의 중심 사찰인 국청사(國淸寺)를 짓게 하였다. 1091년(선종 8) 예부(禮部)의 주장으로 국학(國學)주1의 상을 벽에 그려 붙였는데, 차례는 송나라 국자감(國子監)의 예를 따르고, 복장은 10철(十哲)을 모방하게 하였다.

그는 외교 문제도 잘 해결하였다. 거란(契丹)과의 관계도 원만하게 해결하였고 송과의 관계도 지속하였다. 거란이 압록강 국경에 각장(榷場)이라는 시장을 개설하려 하자 이를 무산시켰고 송에 사신을 보내 중요한 전적을 하사받거나 구매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092년(선종 9) 병이 들어 의원이 처방한 약을 먹고 문득 시를 지었는데 “약효가 있고 없음이야 무엇을 염려하랴. 덧없는 인생, 시작이 있었으니 어찌 끝이 없으리. 오직 원하는 것은 여러 가지 선행을 닦아 청청한 곳에 올라 부처에게 예를 드림이네.”라는 구절이 있어 사람들이 놀라고 안쓰럽게 여겼다.

1094년(선종 11) 2월 열병(閱兵)하고, 5월에 연영전(延英殿)에서 죽었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아들이 헌종(獻宗)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이에 불만을 품은 그의 동생 계림공(鷄林公) 왕희(王熙)가 정변을 일으켜 숙종(肅宗)으로 즉위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슬기로웠으며, 자라서는 효도하고 공손하고 검소하였다. 그러나 그 놀이에 절도가 없고, 사탑(寺塔)을 많이 세워 노역(勞役)을 백성에게 지움으로써 원망이 많았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능은 개성에 있는 인릉(仁陵)이며, 시호는 사효(思孝)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사강목(東史綱目)』

단행본

남인국, 『고려중기 정치세력 연구』 (신서원, 1999)

논문

남권희, 「고려 초조대장경의 연구」 (『고전적』 6, 한국고전적보존협의회, 2010)
안계현, 「대장경의 조판」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75)
천혜봉, 「의천의 입송구법과 송각 주화엄경판」 (『동방학지』 54·55·5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7)
주석
주1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 등 72인.

주2

고려 문종의 비(?~1092). 성은 이(李). 중서령 자연(子淵)의 딸로, 아버지의 정략적인 야심으로 인하여 두 동생과 함께 문종의 비가 되었다. 불교를 숭상하여 국청사를 세웠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