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초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남기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남기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인본. 1935년 아들인 해붕(海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창묵(鄭昌默)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4에 사(辭) 1편, 시 365수, 권5·6에 서(書) 6편, 상량문 2편, 잡저 1편, 제문 1편, 부록으로 행장 1편, 만사 6수, 제문 4편, 수연운(壽宴韻) 27수, 기증시(寄贈詩) 6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의 「병중차도정절귀거래사이자견(病中次陶靖節歸去來辭以自遣)」은 병이 들어 세상에 대한 희망이 없어지자 도잠(陶潛)의 「귀거래사」의 뜻을 높이 평가하고, 향리에서 시주(詩酒)로 일을 삼는 자유스러운 뜻을 자기의 처지에 비유하여 지은 글로, 문장이 매우 유창하다.

시의 「신추견수(新秋遣睡)」는 29수에 이르는 방대한 시인데, 가을의 정경을 묘사하고 가을이 되면 기분이 울적하게 변하여 잠이 없어진다는 것과, 책을 대하여 알찬 결실을 맺어야 된다고 한 것으로, 풍부한 지식과 문장력이 잘 나타나 있다.

「영사시(詠史詩)」는 역대의 제왕과 영웅·명상·명현들의 성격과 인물됨 및 사업과 공적들을 노래한 것으로, 해박한 지식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며, 역사적 사실 이해에도 도움이 된다.

「붕아초례시예장(鵬兒醮禮時禮狀)」은 아들을 장가보내면서 사돈에게 보낸 것으로, 옛사람의 혼인에 대한 소중한 견해를 밝히고 상대방의 가풍을 칭찬한 뒤, 혼인 후에는 만복을 받으면서 잘 살기를 빈다는 내용의 격식이 갖추어진 것이며, 혼서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이밖에도 상주 이천서당(伊川書堂)을 지을 때 그 규모와 연혁 등을 기록한 「이천서당상량문」이 있다.

집필자
허호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