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신천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신천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석인본. 1691년(숙종 17)경 처음 간행되었고, 1959년 후손 치범(治範)·문범(文範)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남구만(南九萬)의 초간본 서문과 유영선(柳永善)의 중간본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 후손 사범(思範)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부(賦) 22편, 사(辭) 16편, 시 120수, 소(疏) 1편, 계(啓) 4편, 서(書) 1편, 잡저 12편, 발(跋) 2편, 명(銘) 4편, 잠(箴) 3편, 찬(贊) 5편, 제문 4편, 묘비명 3편, 묘갈명 3편, 묘갈음지(墓碣陰誌) 1편, 묘지명 2편, 행록 1편, 부록으로 세계·연보·신도비명·묘표·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과 만사 19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편(附篇)에는 아우 해익(海翊)의 『호산유고(湖山遺稿)』가 있다.

시의 대부분은 생활을 소재로 한 것인데, 「석추란부(惜秋蘭賦)」·「민기부(悶己賦)」·「발도사(發棹辭)」·「망미인사(望美人辭)」 등과 같이 한인풍(漢人風)의 작품도 상당수 있다. 이는 당시 유행하던 고문운동(古文運動)의 일단으로 보인다.

칠언율시의 「기몽(記夢)」과 잡저의 「기몽」은 모두 자신이 꾼 꿈과 현실 세계와의 기이한 결합을 서술한 것이다. 작자의 풍부한 상상력과 자유분방한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다.

잡저의 「서한비세난편후(書韓非說難篇後)」에서는 교묘한 논리의 결합으로 남을 설득하기 어려운 점은 인정하지만, 이윤(伊尹)과 태공(太公)은 입을 열지 않고 은(殷)·주(周)를 얻었고, 공자와 맹자는 천하를 주유하고도 얻지 못한 것을 보면, 변설(辯說)만으로는 명(命)을 좌우할 수 없다고 하였다.

「청백안설(靑白眼說)」에서는 눈에 보이는 현상만을 두고 주관적으로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없다고 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