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증촌리 석조 여래 좌상 ( )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용화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불상.
이칭
이칭
상주증촌리석불좌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상주시 함창읍 증촌2길 10-13 (증촌리)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용화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1.68m에 이른다. 불상은 파손된 부분이 적어서 원형을 잘 보여주지만 목에 보수 흔적이 있어 머리와 몸이 떨어져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광배는 사라졌고, 대좌 일부는 남아있다.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와 양감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상반신 표현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의 조각으로 추정된다.

내용 및 특징

각지고 당당한 어깨와 융기된 가슴, 허리를 곧추세운 자세가 중대 신라의 조각전통을 계승했음을 알려준다. 두 다리의 폭이 넓고, 다리와 발의 윤곽이 명확하게 드러나게 조각된 점, 부채꼴로 잘 접혀진 옷자락이 대좌에 새겨진 점은 이 불상이 석굴암 본존불을 모델로 만들어졌음을 시사한다. 양감이 풍부한 가슴과 잘록한 허리도 8세기 조각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강인한 인상을 주는 신체에 비하면 얼굴은 부드러운 편이다. 거의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지만 풍만한 뺨과 윤곽이 뚜렷한 입술은 섬세하고 온화한 인상을 준다. 소라 모양으로 말린 머리카락[나발(螺髮)]과 상투 모양의 정수리[육계(肉髻)]가 없어서 머리의 보수가 불완전하게 이뤄졌음을 알려준다.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머리에 육계와 나발이 없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에는 부처의 외적 특징인 32상(相) 80종호(種好) 중 하나인 삼도(三道)가 3줄 표현되었다. 활처럼 휜 눈썹과 넓은 눈두덩, 가늘고 길게 수평으로 올라간 눈은 동해시 삼화사 철조로사나불좌상과 같은 9세기의 불상에서 볼 수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신체에 밀착하여 얇게 표현되었다. 가슴을 드러낼 정도로 깊게 파인 통견(通肩)의 대의(大衣)에는 좌우대칭의 옷 주름이 새겨졌고, 신체의 굴곡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오른손은 무릎에 내려 촉지인(觸地印)을 했으며 왼손에는 약 그릇을 들고 있어 약사여래불의 도상을 나타낸다. 대좌는 8세기에 많이 나타나는 8각의 연꽃무늬 대좌이나 중대석은 후에 보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안정감 있는 신체 비례와 양감이 풍성한 가슴이 당당해 보이면서도 어깨와 팔은 왜소해 보이며, 신체 각 부분이 딱딱하게 표현되어 신라 중대와 하대의 과도기적 특징이 드러나는 조각이다. 석굴암 본존불과 같은 통일신라 중기 조각의 풍만하고 균형 잡힌 형식을 그대로 계승했으면서도 세부 표현에서 형식화되고 경직화되는 모습이 잘 나타나는 통일신라 하대의 중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Ⅰ-Ⅴ(경상북도, 2003)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강희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