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죽화 ()

목차
한문학
작품
고려 중기에 정습명(鄭襲明)이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중기에 정습명(鄭襲明)이 지은 한시.
내용

고려 중기에 정습명(鄭襲明)이 지은 한시. 오언율시. 불우한 작자의 처지를 들에 핀 패랭이꽃에 비유한 작품이다. ≪동문선≫ 권9에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선 모두들 붉은 모란꽃만 사랑하여/정원에 가득히 심고 가꾸네/누가 이 거친 초야에/좋은 꽃떨기 있는 줄 알기나 하랴/어여쁜 모습은 연못 속의 달을 꿰뚫었고/향기는 밭두렁 나무의 바람에 전하네/외진 땅에 있노라니 찾아주는 귀공자 적어/아리따운 자태를 농부에게 붙이네(世愛牡丹紅 栽培滿院中 誰知荒草野 亦有好花叢 色透村塘月 香傳隴樹風地偏公子少 嬌態屬田翁).

어느 환관(宦官)이 <석죽화>를 읊어 임금에게까지 들리니 임금이 감탄하여 정습명을 옥당(玉堂)에 보임하였다는 일화가 ≪파한집≫에 전한다. 이에 따른다면 <석죽화>는 바로 정습명의 출세작이 된 셈이다.

평범한 산문의 조직을 연상하게 하는 구법(句法)을 하고 있으면서도 이 작품의 풍유기법(諷諭技法)은 높은 수준을 보인다. 초야에 묻혀 사는 자신의 처지를 패랭이꽃에 비유하여 세속에서 사랑받는 모란과 대응시키고 있다.

참고문헌

『파한집(破閑集)』
『청구풍아(靑丘風雅)』
「고려시대의 한시연구」(민병수,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