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면 1칸인 맞배지붕 겹처마집으로 서까래와 부연(副椽)을 한 다포식이다.
앞에 9개의 돌계단을 설치하고 그 좌우로 용두(龍頭)와 비슷한 석상을 조각한 이 건물은, 다듬은 돌초석에 기둥은 민흘림의 기둥을 세우고 전후로 보조기둥을 세우도록 되어 있으나 위로부터 30㎝ 중간에서 보조기둥을 절단하였다.
이는 다른 일주문에서 볼 수 없는 기둥 양편에 설치된 담장 때문이 아닌가 한다. 기둥 위로는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배치하고 그 위로 공포가 결구되었는데, 출목수는 외4출목, 내2출목으로 중앙에 3구(軀)의 공간포와 역시 측면에도 1구의 공간포를 가구하였다.
또, 내부는 좁은 천장인데 공간에 첨차(檐遮)를 부착, 외부와 내부에서 포의 균형미를 꾀하였다. 그리고 양 기둥 위인 주두에 꼬리를 두고 서로 중앙을 향하여 곧 구름의 조화를 일으킬듯한 용두를 조각하여 승(僧)과 속(俗)의 경계에 위엄을 더하고 있다.
전면에 종서로 된 ‘曹溪山仙巖寺(조계산선암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정유재란의 병화를 입지 않았다는 사전(寺傳)에 의해 건립시기는 조선 후기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