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옷

분홍모시속적삼
분홍모시속적삼
의생활
물품
겉옷 안에 입는 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속옷은 겉옷 안에 입는 옷이다. 속옷의 용도는 겨울의 방한용, 여름의 땀받이용이다. 또 자태를 우아하게 보이기 위한 맵시용, 내외법에 의한 내외용이다. 고려 시대에 속옷 관련 기록은 『고려도경』에 남아 있다.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속옷이 발달했다. 남자용으로 상의에 속저고리·속적삼, 하의에 잠방이가 있었다. 여자의 경우 속적삼, 다리속곳, 속속곳, 속바지(고쟁이), 단속곳 등 다양하다. 개화기 이후에는 차츰 팬티 등 간단한 내의류를 착용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의 고유 속옷 중에서 속바지만 남아 한복 치마를 입을 때 입는다.

정의
겉옷 안에 입는 옷.
개설

내의(內衣) · 내복(內服) · 단의(單衣) · 설복(褻服) · 친의(襯衣) · 츤의[襯衣]라고도 한다. 속옷의 용도는 겨울의 방한용, 여름의 땀받이용, 옷의 자태를 우아하게 보이기 위한 맵시용, 내외법에 의하여 생겨난 내외용(內外用) 등이 있다. 우리 나라는 한대성 기후대로 겨울의 모진 추위를 막기 위한 속옷이 요구되어 방한용 위주로 발달하였다.

속옷은 무명으로 많이 만들며 예복(禮服)용으로는 명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무명은 속옷으로 흡수성 및 흡습성이 좋은 위생적인 면과 세탁성 · 경제성도 좋기 때문에 선호되었다.

겨울에는 명주 · 삼팔 등을 소재로 사용하고 속에 솜을 넣어 누벼서 만들기도 한다. 여름에는 모시 · 생명주 · 항라 · 등으로 만들거나 삼베를 사용하는데 특히 안동 지역 및 경북 부부 지방에서만 주로 입는 살창고쟁이의 경우 거의 대부분 삼베로 만든다. 봄가을에는 옥양목 · 항라 · 명주로 만들며 주로 흰색 · 옥색 · 회색 등을 사용하였다.

삼국시대∼고려

삼국시대에는 속옷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고, 다만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에 나오는 흥덕왕 때의 복식금제(服飾禁制)에서 그 편린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는 ‘표의(表衣)’ · ‘단의(短衣)’ · ‘내의’와 ‘표상(表裳)’ · ‘내상(內裳)’이라는 말이 나온다. 표의를 두루마기로, 단의를 저고리로 볼 때 내의는 속옷으로서의 속저고리라고 할 것이며, 표상이 겉치마일 때 내상은 속치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속저고리 · 속치마류는 고려시대는 물론 조선시대에서도 볼 수 있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도 ‘문릉관고(文綾寬袴)’와 ‘선군(旋裙)’ · ‘저의(紵衣)’ · ‘저상(紵裳)’ 등 고려시대의 속옷에 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문릉관고는 생초(生綃)로 안을 받쳐서, 옷이 몸에 붙지 않게 넉넉하게 만든 것인데 이는 치마 안에 입는 조선시대의 너른바지와 같은 것으로 추측된다.

선군은 7, 8필의 옷감을 이어 만든 이은치마로, 조선시대의 무지기와 같은 것이었다. 저의와 저상은 목욕할 때 입는 것으로, 저의는 속에 입는 홑옷인 중단(中單)이라 하였고, 저상은 겉과 안이 6폭으로 한가랑이는 3폭이고 허리말기는 없으며 끈을 두 개 달아 입는다고 하였다. 이것으로 미루어, 저의는 조선시대의 속적삼과 같은 것이고 저상은 치마 안에 입었던 말군(襪裙), 고쟁이 등으로 여겨진다.

조선

조선시대에는 속옷이 아주 다양해졌는데, 남자용으로는 상의인 속저고리 또는 속적삼, 하의인 잠방이가 있었다. 여자의 경우는 맵시를 내기 위한 맵시용뿐 아니라 내외용 · 땀받이용 등으로, 다른 민족복에서는 볼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여자용 속옷은 다음과 같다.

① 속적삼: 홑으로 된 속저고리로, 삼복더위라 할지라도 적삼 하나만 입는 법은 없었고 반드시 속적삼을 받쳐 입었다. 또 삼작(三作)저고리라 하여 겉저고리 · 안저고리 · 속저고리를 겹쳐 입었는데 안저고리도 속옷이었다. 이와 같이 저고리 3작으로써 맵시도 냈지만, 속적삼은 주로 땀받이용이었다.

② 가리개용 허리띠: 조선 후기에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자, 저고리와 치마 사이의 겨드랑이를 가리기 위하여 생겨났다. 옷을 입기 전에 맨살의 겨드랑이 밑으로 바짝 치켜서 가슴을 납작하게 졸라 매었다. 겹 · 누비 혹은 솜을 두어 추위를 막기도 하였다.

③ 다리속곳: 가장 안에 입는 속옷으로 일본의 훈도시가 이에 속하며, 고구려 고분벽화 쌍영총 씨름도에 장사 두명이 입은 팬티와 모양이 같다. 옷감을 홑으로 길게 하여 허리말기를 달아서 만들었으며 이는 속속곳이 크기 때문에 자주 빨아 입을 수 없는 불편함을 덜기 위하여 생긴 것이다.

④ 속속곳: 단속곳과 형태는 같으나 치수가 약간 작으며 밑은 막혀 있다. 한쪽 가랑이가 35cm 전후 나비의 옷감 3∼4폭을 이어 만들어 폭이 상당히 넓다. 구성은 양쪽 가랑이, 밑[襠] · 허리말기 · 끈으로 이루어졌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깨에 걸칠 수 있도록 어깨끈을 단 경우도 있다. 직접 살에 닿는 속옷이므로 무명 · 옥양목 · 광목 등 부드러운 옷감을 사용한다.

⑤ 속바지(고쟁이): 남자 바지와 비슷한 형태이나 밑이 터져 있고 가랑이의 통이 넓으며 허리끈이 달려 있다. 삼국시대부터 겉옷과 속옷으로 두루 착용되던 바지가 조선시대에 오면서 여자들의 속바지로 정착된 것이다. 고려의 저상, 조선 초의 말군과 비슷하다. 속속곳 위에 입으며, 겹바지와 솜바지는 봄가을 · 겨울용으로 입었고, 여름에는 고쟁이라 하여 홑으로 하였다. 뒤가 터져 있어 용변에 불편이 없도록 하였으며 바짓 가랑이를 무릎 정도까지는 좋은 옷감으로 덧대어 만들기도 하였다. 입을 때는 트임을 오른쪽으로 오게 하고 앞끈은 뒤로 돌려 앞으로 오게 하고 뒷끈은 앞으로 가져다 서로 잡아맨다.

⑥ 단속곳[單襯依]: 속속곳과 형태는 같으나 치마보다 다소 짧고 양 가랑이가 넓어 속치마 대용으로 입는다. 앞 뒤 중앙에서 안쪽으로 주름을 4∼5개씩 잡아서 만들고 허리를 단다. 오른쪽에 트임을 주고 앞끈을 뒤로 돌려 앞으로 오게 하고 뒤끈은 앞으로 가져다 서로 잡아맨다.

⑦ 대슘치마: 모시 12폭을 이어 만든 정장용 속치마로, 치마의 아래를 버티기 위하여 단에는 높이 4㎝의 창호지 백비를 모시에 싸서 붙였다.

⑧ 무지기: 12폭의 모시를 3층 · 5층 · 7층으로 길이를 다르게 하여 한 허리에 달아서 겉치마의 허리부분을 부하게 버티어 준 정장용 속치마이다.

개화기∼현대

개화기에 들어와 양복이 도입되고 한복에도 변화가 생겨 활동을 하는 여성은 짧은 통치마를 입기 시작하였다. 그러면서 우리 고유의 속옷들도 긴 저고리와 짧은 치마에 어울리게 변하여 갔다. 신여성도 처음에는 우리 고유의 속옷을 착용하였으나 차차 셔츠나 팬티 등 간단한 내의류를 착용하게 되었다.

속치마의 허리에 어깨허리를 부착하였는데, 이 어깨허리는 1912년대 이화학당의 미스 월터 교장이 학생들의 의복을 편리하게 가르치면서 일반인에게도 보급된 것이다. 그후 어깨허리는 속치마에서 뿐만 아니라 치마에서도 이를 이용하게 되었고, 해방 후까지 존속되고 바지의 허리에도 이를 이용하였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그 길이가 약간 짧았고, 옷감은 주로 흰색의 인조견으로 해 입었는데, 속치마가 나오자 짧은 치마 속에만 이것을 입은 것이 아니라 나중에는 긴 치마에도 속속곳, 다리속곳, 단속곳 대신 입었다. 이렇게 어깨허리가 달린 속치마를 입게 되자 너른바지 같은 것은 남아 있을 수가 없었으며, 그것은 이미 1910년대에 그 자취를 감추었다.

1920년경 셔츠가 들어오면서 속적삼은 여자용 셔츠로 바뀌고, 팬티를 입게되면서 속속곳과 다리 속곳이 없어지고 팬티 위에는 단속곳 · 바지만을 입게 되었다. 또 짧은 치마에는 바지 · 단속곳 대신 무명으로 된 짧은 드로어즈를 입었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에 새하얀 속옷을 겹겹이 포개어 입고, 길고 폭 넓은 치마를 입었던 중후한 실루엣이 1930년대부터 좁은 실루엣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속옷 종류의 수도 줄어 속바지만 통용하게 되었다. 즉 양쪽 가랑이를 따로 만들어 밑을 겹치게 하고 주름을 잡아 허리에 달아 만든 것이 재래의 것이고, 앞은 밑을 붙여 막고 뒤만 겹치게 바느질 한 것이 그 후에 나온 것이다. 이는 속곳과 바지를 하나로 하여 입을 수 있는 ‘속곳바지’ 또는 ‘개량속곳’이라는 것이다. 앞뒤로 트인 고쟁이에서 뒤만 트인 ‘속곳바지(개량속곳)’가 생겼다가 요즈음에는 밑이 막히고 허리에 고무줄을 넣어 입는 형태로 바뀌었다.

우리 고유의 속옷 중에서 바지만이 현재까지 남아 있는데 그것은 긴 치마의 한복에는 역시 바지를 입어야 겉옷의 모양을 풍성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도 행사가 있어 성장할 때에는 바지를 입었으며, 다만 끈 형태의 허리말기를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어깨허리로 해서 입었다.

그리고 해방후에는 허리에 고무줄을 넣어 입고 벗기 편리하게 만든 속바지가 나와 각종 새로운 섬유로 만들어 입게 되었다. 현재는 테트론, 인조견 등으로 겹바지를 만들어 여름이나 춘추에 입는 것과 타프타와 같은 합성 직물에 솜을 넣어 다양한 무늬로 큼직하게 누벼서 세탁에 편하게 한 겨울 바지가 있는데 밑을 따로 달지 않고 허리에 고무줄을 넣어서 편리하게 개량한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도경(高麗圖經)』
『삼국사기(三國史記)』
『한국복식논고』(박경자, 신구문화사, 1983)
『한가람 봄바람에: 이화 100년 야사』(민숙현·박혜경, 지인사, 1981)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5)
「전통 내의문화에 관한 연구: 여성 바지를 중심으로」(김영희,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8)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