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월관음도 ()

회화
유물
국가유산
고려시대의 관음보살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수월관음도(1998)(水月觀音圖(1998))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8년 10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기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 수장고 (삼가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의 관음보살도.
개설

199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00.3㎝, 가로 52.5㎝. 우학문화재단 소장. 커다란 신광(身光: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과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으로 둘러싸인 관음보살이 오른발을 왼발 위에 올려놓은 이른바 반가좌(半跏坐)의 자세로 오른쪽을 향하여 바위 위에 걸터 앉은 모습을 표현한 작품이다.

내용

관음보살은 머리에서부터 전신을 감싸고 흘러내리는 투명한 베일을 쓰고 바위 위에 걸터앉아 있다. 투명한 백의에는 금니(金泥)의 연화당초문원문(蓮花唐草文圓文)이 아름답게 그려져 있다.

그 아래 받쳐 입은 붉은색의 치마에는 백색 안료로 귀갑문(龜甲文)을 촘촘하게 그리고 그 위에 연화하엽문을 그렸다. 머리에는 화불[阿彌陀如來]이 표현된 보관을 쓰고 있다. 오른손의 손목에 유리구슬로 된 염주를 걸치고, 다시 엄지와 중지로 잡고 있다.

관음의 앞쪽 바위 끝 부분에는 버드나무 가지가 꽂힌 정병(淨甁)이 놓여 있다. 보살의 뒤로는 두 그루의 대나무가 곧게 솟아 있다.

왼발은 내려서 연화좌를 밟고 있으며, 관음의 왼발 앞쪽으로 선재동자(善財童子: 구도(求道)의 보살 이름)가 보살을 향해 허리를 굽히고 합장하는 자세로 서 있다. 채색은 먹선 또는 주선(朱線)으로 윤곽을 그린 후 녹청과 군청, 백색, 황토, 금니 등으로 채색하였다. 육신부는 뒷면에서 백색 안료를 복채(伏彩)한 후 앞면에 금니를 칠하여 표현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상과 같은 관음보살도의 형태는 고려 후기 수월관음도의 전형적인 형식이다. 전체적으로 고려 불화의 형식과 기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일본 호쥬인(寶壽院) 소장의 수월관음도와 도상이 유사하여 주목된다. 관음보살의 자세와 화면 구성 요소 등이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일본 호쥬인본이 본 작품(세로 100.3㎝, 가로 52.5㎝)보다 훨씬 크고 선재동자의 모습, 채색, 배일의 형상 등에 차이가 있어, 보수원본을 모본으로 하면서 작가 나름의 변형을 시도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수리를 통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된 이 작품은 고려 불화의 표현 기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고려불화대전』(국립중앙박물관, 2010)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고려, 영원한 미: 고려불화특별전』(삼성문화재단, 1993)
『한국의 미』7 고려불화(이동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高麗時代 水月觀音菩薩圖 圖像 研究」(조수연,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水月觀音圖の成立に關する一考察」(山本陽子,『美術史』125, 東京:美術史學會, 1991)
「高麗時代の水月觀音圖について」(林進,『美術史』102, 東京:美術史學會,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