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흥야매잠주해 ()

숙흥야매잠 권수
숙흥야매잠 권수
유교
문헌
조선전기 학자 노수신이 송나라 진백의 「숙흥야매잠」을 분장하고 해석하여 1568년에 간행한 주석서.
정의
조선전기 학자 노수신이 송나라 진백의 「숙흥야매잠」을 분장하고 해석하여 1568년에 간행한 주석서.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노소재시강록(盧穌齋侍講錄)』과 함께 저자가 진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지은 것이다. 책을 처음 완성한 것은 1554년(명종 9)경으로 그 초본을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에게 보내 질정을 청하였고, 1560년에 다시 이황에게 편지를 보내 의견 교환을 통해 부분적인 수정을 거쳐 완성한 것이다.

그 뒤 1568년(선조 1) 저자가 충청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선조에게 상소문과 함께 올렸던 것을 왕명에 의해 교서관에서 간행하였다. 이후 주1은 없어지고 주2으로 전해지던 것을 1634년(인조 12) 승려인 두섬(杜暹)이 사재로 옥천암(玉泉庵)에서 주3하였다. 다시 1746년(영조 22) 왕명에 의해 황경원(黃景源)이 쓴 영조의 어제 서문과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제10도인 「숙흥야매잠도」를 첨부하여 세 번째로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숙흥야매’라는 말은 『시경』 「소아(小雅) 소완편(小宛篇)」의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진백의 잠(箴)은 그 구절을 인용해 아침에 닭이 울어 일어날 때부터 저녁 잠자리에 들 때까지 부지런히 힘써야 할 일과 마음가짐을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진백의 이 잠은 성리학에 있어서 내적인 인간 수양을 염두에 두고 이룩된 것이다. 이에 대해 저자는 심학(心學)의 입장에서 전체 26구절을 8장으로 나누고, 각 장마다 먼저 주4를 곁들인 주석을 달고, 다시 그 장의 주요한 의미를 해설하고 있다.

저자는 이 잠을 일관하는 요체를 ‘한결같음(一)’으로 파악하고, 주5의 『통서』 「성가학장(聖可學章)」의 일(一)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 저술보다 약간 뒤에 이루어진 이황의 주저인 『성학십도』의 「숙흥야매잠도」는 이 책과 약간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이 책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뒤에 장복추(張福樞)가 이 두 책을 참조해 『숙흥야매잠집』을 저술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조 성리학의 발달 과정과 특색을 드러내는 저술이다.

참고문헌

『퇴계전서(退溪全書)』
『하서집(河西集)』
주석
주1

인쇄하여 발행한 책. 우리말샘

주2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3

이미 펴낸 책을 거듭 간행함. 우리말샘

주4

자구(字句)의 해석. 우리말샘

주5

중국 북송의 유학자(1017~1073). 자는 무숙(茂叔). 호는 염계(濂溪). 당대(唐代)의 경전 주석의 경향에서 벗어나 불교와 도교의 이치를 응용한 유교 철학을 창시하였다. 저서에 ≪태극도설≫, ≪통서≫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권정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