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우간의대부 · 지문하성사 ·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60년(의종 14)
본관
고령(高靈)
주요 관직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관련 사건
정함 탄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신숙은 고려 전기에 우간의대부,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고려 인종과 의종대의 문신으로, 경서를 널리 배웠으며 청렴하고 충직한 것으로 이름이 났다. 우간의대부, 지문하성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참지정사로 치사하였다가 1160년(의종 14) 7월에 사망하였다.

정의
고려 전기, 우간의대부 · 지문하성사 ·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아들로 태부경 신작효(申作孝)를 두었다.

주요 활동

인종(仁宗) 때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여 여러 차례 관직을 옮겨 어사잡단(御史雜端)에 이르렀으며, 경서(經書)를 널리 배웠으며, 청렴·충직하기로 이름이 났다. 신숙은 매우 가난했는데, 이 말을 들은 인종이 즉위 초에 그를 내시(內侍)로 삼고 『춘추(春秋)』와 경전(經傳)을 그에게서 배우기도 하였다.

1152년(예종 6)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에 임명되었는데, 그 때 내시(內侍) 윤언문(尹言文)이 괴석(怪石)을 모아 수창궁(壽昌宮) 북원(北園)에 가산(假山)을 쌓고 그 곁에 정자를 지어 사치가 심하였다. 이에 급사중(給事中) 임경(壬儆)과 더불어 소(疎)를 올려 윤언문 등을 파직시키기를 간하였다.

의종(毅宗) 초에 시어사(侍御史) 송청(宋淸)과 함께 합문(閤門)에 엎드려 3일 동안 간언을 하였으나 회답이 없으므로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1152년(의종 6)에도 우간의(右諫議)로 대궐문 밖에 엎드려 간언을 올렸다.

1156년(의종 10)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로 평장사(平章事) 최윤의(崔允儀)·이지무(李之茂) 등과 함께 의종의 초청으로, 목청전(穆淸殿)에 들어가 선구보(善救寶)·양성정(養性亭)을 둘러보고 어원(御苑)의 화초를 관람한 다음, 충허각(冲虛閣)에서 열린 연회에 참석하였다.

1158년(의종 12)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에 올라 평장사 최윤의,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김영부(金永夫)와 더불어 상춘정(賞春亭)에 나아가 주1를 지내고 비가 오기를 빌었다. 같은 해 6월 왕이 환관(宦官) 정함(鄭函)을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候)에 임명하므로 간의대부 김양(金諹)·유공재(柳公材), 중서사인(中書舍人) 홍원척(洪源滌), 기거사인(起居舍人) 김우번(金于蕃), 좌정언(左正言) 허세수(許勢修) 등과 함께 소를 올려 이를 부당하다고 간하였으나 회답이 없으므로 홀로 대궐에 들어가 다시 간하자, 이에 왕이 정함의 벼슬을 깎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탄핵한 일을 미워하여 수사공(守司空)·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주2시키니 이듬해인 1159년(의종 13)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얼마 뒤 다시 소환되었으나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치사(致仕)하였다. 1160년(의종 14) 7월에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씨족원류(氏族源流)』 고령신씨(高靈申氏)
주석
주1

무속 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2

낮은 관직이나 지위로 떨어지거나 외직으로 전근됨을 이르는 말. 예전에 중국에서 오른쪽을 숭상하고 왼쪽을 멸시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