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 ()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단체
조선 후기에 무당들의 친목 · 권업(勸業) · 장학 · 공조 등을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무당들의 친목 · 권업(勸業) · 장학 · 공조 등을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내용

지역별로 자생적으로 조직된 무당들의 단체 중의 한 종류이다.

함경북도 경성(鏡城)에는 스승청, 제주도에는 심방청[神房廳], 경기도 수원에는 재인청(才人廳), 그리고 한양 근교의 노량진에는 풍류방(風流房)이라는 무당 관련 단체가 있었다. 또 전라도에는 나주·장흥·우수영·진도·완도·광주·전주·남원 등지에 신청이라는 이름으로 그런 것이 존재하였다.

함경도의 스승청과 제주도의 심방청이 주로 남무(男巫)의 단체의 본부였던 데 비하여, 여무가 성했던 전라도지역의 신청은 무악을 맡는 무부(巫夫)들의 단체로서의 무부계(契)라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무부들이 대부분 관아에 속한 악인(樂人)이었기에 신청을 장악청(掌樂廳)이라 하였고 그밖에 악공청·공인(工人)청·공인방으로도 불렀다.

신청은 그 조직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였다. 역대의 무부 이름을 적은 선생안(先生案)을 신청 안에 모셔놓고 매년 정한 때에 계원들이 모여 제사를 올린 바, 그 종교적 기능이 두드러진다.

무당이 천민으로 천대받던 조선조 사회에서 신청은 엄격한 규약을 갖추어 규칙 위반자에게는 제재를 가하고 예능이 우수하거나 효행이 뛰어난 자에게 상이나 명예를 주었으니 신청은 기강 및 윤리 강화의 기능을 감당하였다. 계원간에 형제나 사촌처럼 지내기로 하고 계원의 길흉사에 상부상조한 것은 가족공동체적 기능을 보여 준다.

신청에서는 그밖에 각자의 기예 연마와 후계자의 양성에 힘쓴 바, 전통예술의 전승 및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신청이 뒤에 기생의 음악강습소로 된 예가 적지 않은 것에서도 그런 기능을 실히 알 수 있다.

신청의 조직은 지역마다 약간의 내용적 차이 외에는 기본적으로 유사하였다. 전라남도 나주의 신청을 예로 보면, 이 무부계는 읍내외 무당집의 성년 남자를 계원으로 하여 매 호당 일년에 일정금액을 갹출하여 기본금으로 하고 그 이자로써 신청의 유지비, 선생안의 제사비용 등에 충당하였다.

임원으로는 계장인 상석(上席), 간사로서의 청수(廳首), 서무·회계를 담당한 공원(工員) 및 장무(掌務) 등이 있었다. 이들은 보수 없이 봉사하였다. 장흥신청에는 청지기를 두고 신청 안에 집을 주어 살게 하였다.

매년 한식날과 9월 9일에 계원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신청의 선생안을 모시고 제를 올렸다. 제사는 제수를 차려 축문을 읽고 계원 전원이 사배(四拜)하는 유교식이나 예가 끝나면 삼현육각을 갖춘 가운데 음주가무를 벌였다.

신청은 1920년대에 이르면서 제구실을 더 이상 하지 못하고 하나둘 없어져 갔다. 더러는 기생의 음악강습소가 되기도 하고 또한 권번(卷番 : 일제시대의 기생조합)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이후 무속을 정화한다는 목적으로 일제로부터 인가를 얻어 결성된 조합 형식의 무당조직체에 흡수되기도 하였다. 전라남도의 진도신청은 일제시기를 견디며 살아남았다가 광복 후에 끝내 해산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무속연구』(김태곤, 집문당, 1985)
『한국연극무용영화사전』(예술원, 1985)
『한국의 축제』(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朝鮮巫俗の硏究 下卷』(赤松智城·秋葉隆, 大阪, 屋號書店, 1938)
집필자
조흥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