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심복사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 )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심복사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 초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2년 03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평택시 심복사길 22 (현덕면),심복사(덕목리) / (지번)경기 평택시 현덕면 덕목리 115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심복사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 초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개설

197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광배는 분실되고 없지만 불신(佛身)과 대좌(臺座)는 잘 보존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이 불상의 머리에는 큼직하게 나발(螺髮)이 새겨져 있으며, 머리 정상에 표현된 살상투[肉髻]는 낮게 표현되었다. 얼굴은 둥글고 원만하며 깨어진 코는 보수되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불상의 명칭은 수인(手印)을 통해 알 수 있는데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비로자나불상의 수인인 지권인(智拳印)을 취하고 있다. 왼손의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같은 수인이 뜻하는 바는 중생과 붓다가 둘이 아닌 하나임을 의미한다.

착의법은 양쪽 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이며 대의(大衣) 안에 입은 내의(內衣)의 매듭이 배 앞에 리본처럼 양쪽으로 늘어져 있다. 대의에는 옷주름이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한 띠모양으로 새겨져 있다. 대의의 양쪽 깃과 소매단에는 반원형의 꽃무늬가 서로 엇갈리게 새겨져 있다. 특히 대의의 양쪽 깃에 꽃무늬를 새긴 표현은 867년 경에 조성된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불상에서 주목되는 또다른 표현은 팔이 접히는 팔꿈치 부분에 꽃잎 두 장이 겹쳐진 모습으로 새겨진 독특한 주름이다. 이러한 표현은 867년경의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비롯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서산 보원사지 출토 철불좌상, 원주 출토 철불좌상과 같은 일부 10세기 전반 철불에서도 보이고 있어, 신라 하대의 불상 양식이 고려시대에 도식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된 3단의 연화대좌로 상대(上帶)에는 두 겹으로 연화문이 새겨져 있다. 둥근 중대(中帶)의 앞면에는 두 마리의 사자가 상대를 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고, 하대(下帶)에는 8개의 겹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의의와 평가

따라서 867년경의 축서사 불상과의 유사성을 토대로 미루어볼 때, 심복사 불상의 조성 시기는 고려 초인 10세기를 넘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즉, 이 불상은 신라 하대 조각의 고려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통일신라 말, 고려 초 석불의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최성은, 일조각, 2013)
『문화재대관』보물편 석조Ⅱ(문화재청, 2005)
『국보』4 석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5)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